이만성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선공감부정, 예빈시정, 돈녕부도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기숙(器叔)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36년(인조 14)
사망 연도
1708년(숙종 34)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성주목사|강화부경력(江華府經歷)|선공감부정|예빈시정
정의
조선 후기에, 선공감부정, 예빈시정, 돈녕부도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기숙(器叔). 아버지는 판중추부사 이정영(李正英)이며, 어머니는 유기선(柳基善)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66년(현종 7) 진사시에 합격하고 문음으로 입사(入仕)하여, 1670년 동궁세마(東宮洗馬)가 되었다.

이어서 시직(侍直)·부수(副率) 등을 거쳐 형조좌랑이 되었다. 이 때 위엄으로써 직사(職事) 처리를 공정히 하여 간리(奸吏)의 횡포를 근절시켰다. 이어서 호조정랑에 승진하여 평강현감으로 외직에 나갔는데, 향리의 불법을 금하고 포탈된 조세 징수 등을 추진하여 혜정(惠政)을 베풀었다.

1683년(숙종 9) 평시서령(平市署令)을 거쳐 안성군수가 되어 혜정을 베풀고 동헌을 중수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이 일어나 남인이 집권하자 사직하였고, 1694년 갑술옥사를 계기로 재서용되어 한성부판관이 되었다. 곧 성천부사에 임명되었으나 죄인을 치죄하다 죽게 하여 파직되었다.

1696년 선혜랑을 거쳐 성주목사·장악원첨정(掌樂院僉正)·강화부경력(江華府經歷)·선공감부정·예빈시정 등을 역임하고, 1708년 호군을 거쳐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에 이르렀다.

이만성은 급제를 하지 않아 주로 관리직을 역임하였지만, 천성이 엄중하여 남과의 교제를 많이 하지 않았으며, 가정에서 서사(書史)의 섭렵에만 힘을 기울였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겸재집(謙齋集)』
집필자
장동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