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병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부친의 억울한 죽음에 개탄하여 출사하지 않은 은사(隱士). 효자.
이칭
재심(在心), 사형(士衡)
주암(疇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51년(영조 27)
사망 연도
1814년(순조 14)
본관
전주
정의
조선후기 부친의 억울한 죽음에 개탄하여 출사하지 않은 은사(隱士). 효자.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이상준(李商濬). 자는 재심(在心) 또는 사형(士衡), 호는 주암(疇巖). 아버지는 이조판서 이최중(李最中)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세에 신소심(申素心)에게 수학하여 선생으로부터 사랑을 받고 삼가고 신중함을 배웠다.

1773년(영조 49)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782년(정조 6) 아버지가 역모에 무고되어 전라도 추자도로 극배되자 천복으로 수행, 청파를 거쳐 강상에 이르렀을 때 금오랑(金吾郎)에게 발각되어 배소의 선상 수행을 금지당하였고, 이의병의 아버지는 언의(言議)가 강직하므로 적소에 보낸 뒤 반대파가 죽이려 하였다. 압송자도 이의병의 기를 꺾어 수모를 주었다.

유배 중인 아버지의 안부를 살피기 위하여 행상차림으로 해변까지 가서 통곡하였으며, 돌아와 향리에 은거, 매일밤 산에 올라 남쪽을 향하여 재배하며 울면서 안온을 빌었다. 1784년 가을에 불길한 꿈을 꾸고 즉시 길을 떠났다.

전라도 영암에 이르렀을 때, 아버지의 부음을 듣고 읍졸에게 간청하여 추자도로 건너가 혼절하고 아버지를 향리로 반장(返葬)하였다. 1796년 아버지의 억울함이 신원(伸寃: 원통한 것을 풀어버림)되고, 1801년(순조 1) 복관되었다. 그 뒤 두 번이나 관직의 부름을 받고도 나가지 않고 향리에서 은둔하였다.

참고문헌

『매산집(梅山集)』
집필자
반윤홍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