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호 ()

목차
관련 정보
논산 명재고택 세살창
논산 명재고택 세살창
건축
개념
창과 지게문을 모두 가리키는 건축용어.
내용 요약

창호는 창과 지게문을 모두 가리키는 건축 용어이다. 창호에 대한 기록은 『후한서』 '동이전'에서 처음 보인다. 『삼국사기』에는 신라 시대 창호와 비슷한 중문·사방문 등의 기록이 있다. 고려 시대에도 많은 석탑과 부도에서 창호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부석사 무량수전 등 현존하는 목조 건축에서 창호를 실증적으로 고찰할 수 있다.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 다양한 종류의 창호들이 발달한다. 판장문·골판문·맹장지를 비롯 살창·교창·띠살창·용자창·아자창·만자창·정자살창 등이 있다. 이들 창호의 개폐 방법은 여닫이·미닫이·들어열개 방식이 있다.

목차
정의
창과 지게문을 모두 가리키는 건축용어.
내용

창(窓)과 호(戶)의 복합어이다. 여기에서 호는 문(門)과 의미가 다르다. 즉, 호는 주1호[室口]이기 때문에 어떤 실에 드나들 수 있는 구조물을 말하고, 어떤 집에 드나들 수 있는 구조물(堂之口曰門)인 문과 구별된다.

또 안으로 들어가는 것과 한짝으로 된 것이 호(內曰戶 一扉曰戶)이며, 밖으로 드나들게 된 구조물과 양짝으로 된 구조물인 문(外曰門 兩扉曰門)과는 구별된다. 한국의 목조건축에서는 창호가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뚜렷한 구별이 있지 않고 창과 호가 혼용되어 쓰일 때가 많기 때문에 창호로 불리게 된다.

창호와 문의 구분도 애매하여 우리 나라의 창호는 그 제작자의 구분에 따라 말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즉, 주2이 전담하여 짠 것이 창호이고 주3이 제작한 것을 문으로 보면 된다.

우리 나라 건축에서 창호의 발생은 아마도 주4에서라고 추측되는 나뭇가지와 풀로 엮어 만든 간이형 주5였을 것이다. 창호에 대한 기록으로는 『후한서 後漢書』 동이전(東夷傳) 마한조(馬韓條)의 “흙집을 지었는데, 무덤 모양과 같고 창호가 위에 있다(作土室形如冢開戶在上).”라고 한 데서 처음 볼 수 있다.

또 창호의 모습, 넓게는 이와 비슷한 문의 모습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보인다. 즉, 쌍영총(雙楹塚) 북벽의 벽화에서 주6 부부가 앉아 있는 집의 왼쪽 벽에 외짝문을 그려놓았다. 또 통구12호분에서도 문짝들이 보인다.

한편, 안성동대총(安城洞大塚)의 누각도(樓閣圖)에서는 높은 누각의 벽체 상부에 조그마한 창이 그려져 있다. 백제시대의 것으로는 국립부여박물관 소장의 백제동탑편(百濟銅塔片)에서 주7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신라의 창호에 관한 것으로는 『삼국사기』 옥사조(屋舍條)에서 창호와 비슷한 중문(重門) · 사방문(四方門) 등의 기록을 볼 수 있고, 벽전(壁塼)에서 주8의 정면이 모두 살창으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또, 고달사지 승탑(국보, 1962년 지정) 등의 석조물에서는 살창과 문의 모양이 조각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도 많은 석탑부도에서 창호의 모습을 찾을 수 있고, 더욱이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1962년 지정) 등 현존하는 그 시대의 목조건축에서 창호를 실증적으로 고찰할 수 있다.

즉, 무량수전에서는 정자살창호를, 수덕사 대웅전(大雄殿)에서는 빗살창호를, 부석사 조사당에서는 살창을 찾아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면 창호에 관한 실증적 자료들이 많이 있어 그 세부적인 모습을 다음과 같이 고찰할 수 있다.

⑴ 종 류

① 판장문(板長門) : 몇 장의 널판에 띠를 대어 한 장처럼 붙여만든 문으로 부엌 · 주9의 문, 방의 덧문으로 사용된다.

② 골판문(骨板門) : 주10를 짜고 그 사이에 주11을 끼워넣은 문으로 주12이나 고방문(庫房門)으로 사용된다.

③ 맹장지[盲障子] : 문울거미를 짜고 두꺼운 종이로 양면을 싸 바른 문으로, 방과 대청 사이의 주13으로 사용한다.

④ 도듬문 : 맹장지와 비슷하나 울거미만을 돋아나게 한 것으로 주14, 다락문, 쌍창 안쪽의 덧창호로 쓰인다.

⑤ 불발기 : 맹장지의 중앙에 사각 · 팔각 · 원형 등의 울거미를 짜고, 그 속에 주15 · 빗살 · 완자살 등으로 짠 다음, 창호지를 한면에만 바름으로써 그 부분만 밝게 한 창호이다. 보통 대청과 방 사이에 주16로 단다.

⑥ 살창 : 방형 · 장방형의 울거미를 짜고 여기에 살대(단면은 사각 · 육각 · 팔각 등)를 수직으로 세운 창호로, 보통 창호지를 바르지 않고 부엌의 부뚜막 상부처럼 환기와 통풍이 필요한 곳에 단다. 또 창호지를 발라 채광창으로도 쓴다.

⑦ 교창 : 부엌벽에 높직하게, 또는 일반 벽체의 높은 곳, 전각의 전면창호 위에 가로로 길게 단 창호로, 이의 살짜임은 빗살 · 완자살 등이 주종을 이룬다.

⑧ 띠살창[細箭窓] : 살대를 수직으로 좁은 간격으로 보내고 다시 창호의 위 · 중간 · 아래 세 곳에 수평살대들을 다섯 개 정도 보낸 창호로, 덧창호로 많이 쓰인다.

⑨ 용자창(用字窓) : 살짜임새를 用자모양으로 짠 창호로 방과 방 사이의 미닫이와 남향창으로 널리 쓰인다.

⑩ 아자창(亞字窓) : 亞자모양으로 살짜임새를 만든 창호로 방과 방 사이의 미닫이로 널리 쓰인다.

⑪ 만자창[卍字窓] : 卍자 모양으로 살짜임새를 이룬 창호로 방과 방 사이의 미닫이로 널리 쓰인다.

⑫정자(井字)살창 : 井자모양으로 살을 짠 창호로서 주택 · 왕궁 · 사찰의 덧창호로 널리 쓰인다.

⑬ 숫대살창 : 산가지[算木]의 늘어놓은 모양을 살짜임으로 한 창호로 방의 정면 창호로 많이 쓰인다.

⑭ 빗살창 : 45°와 135°로 살대를 짜넣은 창호로, 왕궁 · 사찰의 창호로 널리 쓰인다.

⑮ 소슬빗살창 : 빗살창의 살짜임새(30°와 150°) 모양에 수직으로 살대들을 넣어 만든 창호로 왕궁 · 사찰의 창호로 널리 쓰인다.

⑯ 귀자창(貴字窓) : 貴자를 변안하여 살무늬를 이룬 창호로 주17 · 교창 등에 쓰인다.

⑰ 귀갑창(龜甲窓) : 거북이의 잔등무늬를 살짜임새로 한 창호로서 전각의 정면 창호로 쓰인다. 또 이의 변형은 주택창호에서도 쓰인다.

⑱ 빗꽃살창 : 빗살의 살짜임새를 바탕으로 꽃모양을 새김한 창호로 왕궁 · 사찰, 전각의 정면 창호로 쓰인다.

⑲ 소슬빗꽃살창 : 소슬빗살창의 살짜임새를 바탕으로 꽃새김을 한 창호로 왕궁 · 사찰의 정면창호로 널리 이용된다.

⑳ 기타 : 하나의 창호에 두 가지 이상의 살짜임새를 넣어 복합적으로 구성하는 창호들로, 예컨대 빗살의 불발기와 띠살의 복합( 율곡사 대웅전), 띠살과 골판문의 복합(경주 최부잣집) 등을 들 수 있다.

⑵ 창호짜기

① 울거미 : 울거미는 주18주19를 단순하게 직각으로 맞댄 경우와 주20로서 45° 방향으로 모를 내어 맞댄 경우가 있다. 또, 울거미의 선대와 막이의 면에는 주21로 모양을 내며 모서리는 주22 · 주23 · 주24 · 주25 등을 낸다.

② 창살 : 창살은 주26 · 골미리 · 주27 · 주28 등으로 다듬는데 이 중 투미리가 가장 고급수법이다.

③ 창호철물 : 창호를 짤 때 보조수단으로 쓰이는 철물에는 새발장식 문고리 · 주29 · 주30 · 주31 등이

새발장식주32은 주로 창호의 울거미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철물이다. 괏쇠는 마름모꼴로 생긴 철물로, 판장문의 널빤지를 띠로 붙일 때 치는 못받침으로 하여 창호에 모양을 내주는 구실을 한다.

국화쇠 또한 괏쇠와 같은 기능의 철물이지만 그 모양이 국화꽃모양으로 생겼다. 갑잡이쇠는 무거운 문짝의 선대와 막이가 서로 물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철물이다.

⑶ 창호달기

창호를 주33에 달 때에는 여러 종류의 철물이 필요하다. 가볍고 작은 문짝에는 주34을, 일반창호에는 돌쩌귀, 무겁고 큰 문짝에는 주35 · 주36 · 주37 · 주38 · 주39 등을 이용한다.

특히, 신쇠는 크고 무거운 문짝의 장부에 씌우고 대접쇠는 문지방 주40에 단다. 들어열개의 창호에는 매달 때 필요한 주41들을 이용하는데, 접은 문짝을 들쇠에 얹게 된 것과 두 개의 들쇠 사이에 끼운 막대기 위에 얹어놓게 된 방법이 있다.

⑷ 창호의 개폐방법

① 여닫이 : 창호를 돌쩌귀로 문설주에 달거나 장부와 문 둔테로서 상하 문지방에 달아 안으로 잡아다니거나 밖으로 밀어 여는 방법으로 출입창호, 방의 덧창호에 널리 쓰인다.

② 미닫이 : 골홈을 판 문지방을 위와 아래에 놓고 이 사이에 문짝을 끼워 수평방향으로 밀어 열고 닫는 개폐방법이다.

③ 들어열개 : 보통 방과 대청 사이, 대청 전면, 누마루 전면, 정자 · 누의 창호에서 이 개폐법을 많이 쓴다. 네 짝으로 될 때 두 짝씩은 창호와 창호 사이에 돌쩌귀를 달고, 한 쪽 창호에는 다시 창호의 윗막이와 문윗인방에 돌쩌귀를 단다. 따라서 두 짝씩 수평 방향으로 접어, 다시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 들쇠에 매다는 방법이다.

참고문헌

『한국건축의장』(주남철, 일지사, 1979)
『한국고건축단장』 하(김동현, 통문관, 1977)
『창호』(장기인, 예성출판사, 1983)
「한국창호에 관한 연구」(주남철, 『한국문화연구원논총』 19, 이화여자대학교, 1972)
주석
주1

옛날식 가옥에서, 마루와 방 사이의 문이나 부엌의 바깥문. 흔히 돌쩌귀를 달아 여닫는 문으로 안팎을 두꺼운 종이로 싸서 바른다. 우리말샘

주2

나무로 가구나 문방구 따위를 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3

큰 건축물을 잘 짓는 목수. 우리말샘

주4

선사 시대 인류의 일반적인 주거 양식. 땅을 둥글거나 네모나게 파고 그 위에 지붕을 올렸다. 바닥에는 돌을 깔고 가운데에 노를 만들었으며 둘레에는 배수구를 팠다. 우리말샘

주5

이것은 혹 거적처럼 생겼 수도 있다

주6

무덤의 주인. 우리말샘

주7

분합(分閤) 위에 가로로 길게 짜서 끼우는 채광창. 우리말샘

주8

임금이 거처하는 집. 우리말샘

주9

세간이나 그 밖의 여러 가지 물건을 넣어 두는 곳. 우리말샘

주10

‘문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1

마룻바닥에 깔아 놓은 널조각. 우리말샘

주12

문짝 바깥쪽에 덧다는 문. 우리말샘

주13

옛날식 가옥에서, 마루와 방 사이의 문이나 부엌의 바깥문. 흔히 돌쩌귀를 달아 여닫는 문으로 안팎을 두꺼운 종이로 싸서 바른다. 우리말샘

주14

장지 문짝을 옆벽에 밀어 넣고 그 앞을 가리어 막는 문. 우리말샘

주15

‘井’ 자 모양으로 짠 문살. 우리말샘

주16

위쪽으로 들어 열게 된 문. 우리말샘

주17

문 한가운데에 교창(交窓)이나 완자창을 짜 넣고 창호지를 붙여 채광이 되게 문을 바르는 방식. 우리말샘

주18

창이나 문짝 좌우의 뼈대. 우리말샘

주19

문짝의 아래나 위에 건너지른 뼈대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0

두 재를 맞추기 위하여 나무 마무리가 보이지 않게 귀를 45도 각도로 비스듬히 잘라 맞춘 곳. 우리말샘

주21

기둥이나 창문틀 또는 창문 울거미에서 두 줄이 오목하게 들어간 쇠시리. 또는 그 모양. 우리말샘

주22

목재의 모서리를 대패로 가볍게 밀어 날카로움을 없앤 부분. 우리말샘

주23

기둥 따위의 모서리 옆면을 오목하게 줄이 나게 접은 모. 우리말샘

주24

재목을 둥그스름하게 굴려 다듬은 모. 우리말샘

주25

기둥 좌우의 모서리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쇠시리를 한 것. 우리말샘

주26

함지박이나 나막신 따위의 구붓한 등바닥을 밀어 깎는 연장. 우리말샘

주27

창문 살 따위를 도드라진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있게 파는 대패. 또는 그렇게 하는 일. 가운뎃줄이 조금 넓게 세 줄을 판다. 우리말샘

주28

창살의 등을 둥글게 밀어 만드는 일. 우리말샘

주29

꽃무늬를 새겨 만든 장식 철판. 못 친 자리 위에 장식으로 댄다. 우리말샘

주30

꽃무늬를 새겨 만든 장식 철판. 못 친 자리 위에 장식으로 댄다. 우리말샘

주31

두 부재를 감아 목재의 이음을 보강하는 ‘ㄷ’ 자 모양의 쇳조각. 우리말샘

주32

새의 발처럼 만들어서 문짝에 박는 쇠 장식. 우리말샘

주33

문짝을 끼워 달기 위하여 문의 양쪽에 세운 기둥. 우리말샘

주34

한쪽은 두 갈래, 다른 한쪽은 한 갈래로 해서 만든 배목. 문짝과 문틀에 나누어 달고 비녀장을 꽂으면 문이 달리게 된다. 우리말샘

주35

장부를 단단히 하기 위하여 씌우는 쇠. 우리말샘

주36

말뚝이나 지팡이 따위의 뾰족한 밑동이 부러지지 아니하게 하기 위하여 대는 쇠. 우리말샘

주37

문지도리의 장부가 들어가는 데에 끼는, 확처럼 생긴 쇠. 우리말샘

주38

문장부가 들어가는 문둔테 구멍의 가장자리에 대는, 말굽 모양의 쇠. 우리말샘

주39

문장부 옆에 박아서 대접쇠와 맞비비게 되어 있는 쇳조각. 우리말샘

주40

문장부를 끼는 구멍이 뚫린 나무. 주로 두꺼운 널빤지로 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41

겉창이나 분합(分閤) 따위를 떠올려 거는 쇠갈고리. 우리말샘

집필자
주남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