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감찰대부, 전리판서, 개성윤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재지(宰之)
시호
문진(文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03년(충렬왕 29)
사망 연도
1378년(우왕 4)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전리판서(典理判書)|개성윤(開城尹)
정의
고려 후기에, 감찰대부, 전리판서, 개성윤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재지(宰之). 선부전서(選部典書) 최득평(崔得枰)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21년(충숙왕 8) 동대비원녹사(東大悲院錄事)로 출발, 산원(散員)·별장(別將)을 거쳐 1330년 과거에 급제하였다.

충숙왕 복위 연간에 중부령(中部令)과 감찰지평(監察持平)을 지내고, 충목왕 즉위 초에는 전법정랑(典法正郎)을 거쳐 지흥주사(知興州事)로 외보(外補)되어 백성을 잘 다스렸으나, 권신 인승단(印承旦)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

1347년(충목왕 3) 정치도감(整治都監)이 설치되어 권문세가의 토지·노비 등의 부당한 탈점을 정리할 때 판관(判官)으로 참여했으며, 이듬해 경상도안찰사(慶尙道按察使)로 나갔다가 다시 전객부령(典客副令)·자섬사사(資贍司使)로 옮겼다.

1349년(충정왕 1) 양주(襄州)의 수령으로 나가 있던 중 원나라의 강향사(降香使)가 존무사(存撫使)를 부당하게 욕보이는 것을 보고 개탄, 항의의 표시로 사직했으나 이로 인해 오히려 감찰장령(監察掌令)에 특진되었다.

공민왕 즉위 후 개성소윤(開城少尹)·전법총랑(典法摠郎)·감찰집의(監察執義)·상서우승(尙書右丞)·대부시사(大府寺事) 등의 관직을 차례로 역임하면서 왕으로부터 직접 칭찬을 받을 만큼 많은 치적을 올렸다. 1359년(공민왕 8) 다시 공주목사(公州牧使)로 출보되었으며, 1361년 상주목사(尙州牧使)로 옮겼다.

그 해 겨울 홍건적의 재침으로 피난하는 왕을 상주에서 맞게 되었는데, 호종했던 관리들의 참소로 파직되었으나 1364년 감찰대부(監察大夫)로 기용되고, 중대광완산군(重大匡完山君)에 봉해졌다.

그 뒤 전리판서(典理判書)와 개성윤(開城尹)을 역임했으며, 1374년 벼슬을 사퇴하고 향리로 돌아갔다. 우왕 때 밀직부사 상의(密直副使商議)를 제수했으나 사양하였다. 성품이 강직해 사람들이 중히 여겼다고 한다. 시호는 문진(文眞)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목은집(牧隱集)』
『동문선(東文選)』
집필자
윤용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