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도가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선조 때 이순신(李舜臣)이 지은 시조.
정의
조선 선조 때 이순신(李舜臣)이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1수. 진본(珍本) 『청구영언(靑丘永言)』을 비롯한 22종의 가집에 실려 있고,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도 기록되어 있다. 이 시조의 한역가는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권1 및 『충무공가승(忠武公家乘)』에 전한다.

내용 및 평가

작품의 배경이 한산도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작자가 임진왜란 때 전라좌도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가 되어 한산도에서 군진을 치고 있을 때의 착잡한 심회와 충정을 노래한 것으로 보인다.

“한산(寒山)셤 ᄃᆞᆯ ᄇᆞᆯ근 밤의 수루(戍樓)에 혼자 안자/큰 칼 녀픠 ᄎᆞ고 기픈 시ᄅᆞᆷ ᄒᆞᄂᆞᆫ 적의/어듸셔 일성호가(一聲胡笳)ᄂᆞᆫ ᄂᆞᆷ의 애ᄅᆞᆯ 긋ᄂᆞ니(閑山島月明夜 上戍樓 撫大刀深愁時 何處一聲羌笛更添愁).” 나라를 지키는 장군의 직분에 있는 작자의 우국충정과 고독한 심회가 비장하게 나타나 있다.

참고문헌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역대시조전서(歷代時調全書)』(심재완, 세종문화사, 1972)
집필자
김학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