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야집(東埜集)
1845년(헌종 11) 손자 도균(度均)·하균(夏均)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홍직필(洪直弼)과 김이양(金履陽)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강태중(姜泰重)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수에 총목(總目)이 있고, 권1∼3은 부(賦) 2편, 시 165수, 가행(歌行) 21수, 권4는 의고(擬古) 9수, 악부(樂府) 19수, 권5는 소 3편, 권6은 서(書) 39편, 권7은 서(序) 9편, 기 14편, 권8은 제발(題跋) 13편, 설 2편, 상량문 3편, 명 12편, 찬 1편, 송(頌) 1편, 고문(告文) 6편, 권9는 제문 34편, 권10∼12는 행장 16편, 서(敍) 5편, 전(傳) 8편, 권13은 잡저 7편, 권14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행·의고·악부는 한문으로 된 악장가사인데, 국문가사와 비교하여 지은 것으로 가사문학연구에 참고자료가 된다. 서(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