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진 ()

고대사
인물
신라 진평왕대 곡물 수송을 담당한 왕경 출신의 관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간진은 신라 진평왕 때 활약한 중앙의 관리이다. 능절조 30석을 부산성으로 나르다가 죽지랑의 낭도인 득오가 휴가를 얻게 도왔다. 간진은 당시 '사리'였으므로 중앙의 관리로서 임시로 수취품의 운송을 책임졌다고 보인다. 국가는 이를 표창하여 간진의 가호를 평정호(枰定戶)로 지정해 주었다.

정의
신라 진평왕대 곡물 수송을 담당한 왕경 출신의 관리.
가계 및 인적 사항

『삼국유사』 「죽지랑(竹旨郞)」 조에 "사리(使吏) 간진(侃珍)"이라고 표기되어 있어 성(姓)이나 관등, 관직을 알 수 없다. 간진의 수행원 가운데 진절(珍節)이 있었는데, 진절이 사지(舍知), 즉 경위 13등의 관등 또는 중앙 관부의 하위직인 사지 관직이었으므로, 간진 역시 왕경 출신으로 추정된다.

주요 활동

간진의 활동을 전하는 『삼국유사』의 조항이 " 효소왕대 죽지랑"이라고 되어 있어 마치 효소왕 때 죽지랑과 간진이 활동한 것처럼 되어 있다. 그러나 효소왕대는 죽지랑의 만년 시기로서 죽지랑의 낭도인 득오(得烏)가 「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를 지은 시기이고, 부산성(富山城)을 둘러싼 사건이 벌어진 것은 진평왕대였다.

간진도 진평왕 때 주로 활동하였으며, 지금의 경상남도 밀양시에 해당하는 추화군(推火郡)에서 조세로 걷은 능절조(能節租)라는 곡물을 금성 입구의 건천 지역에 있던 부산성으로 수송하는 책임을 맡았다. 간진은 당시 '사리'였으므로 중앙의 관리로서 임시로 수취품의 운송을 책임졌다고 보인다.

부산성에서 창고지기로 일하던 득오의 휴가를 얻기 위해 죽지랑이 노력하는 것을 보고 득오를 사역하던 아간(阿干) 익선(益宣)에게 능절조를 주었으나 허락하지 않자 다시 수행원인 진절의 말안장을 주어 휴가를 얻게 하였다고 한다.

상훈과 추모

득오를 둘러싼 사건이 조정에 알려지자 진평왕은 간진의 처사를 기려 그 자손이 대대로 평정호손(枰定戶孫)으로서 거주 구역의 업무를 맡게 하였다. 한편, 익선에 대한 처벌로서 그가 속한 모량부 출신 관료를 파직하고 불교 승려가 될 수 없게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유사』

단행본

김창석, 『삼국과 통일신라의 유통체계 연구』(일조각, 2004)
三品彰英, 『三國遺事考證中』(東京, 塙書房, 1979)

논문

김철준, 「신라 귀족세력의 기반」(『인문과학』 7, 『한국고대사회연구』, 지식산업사,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