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렴 ()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신으로 당나라에서 차를 전래해 온 관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대렴은 신라 하대(下代)에 활약한 고위 관료이다. 신라 제42대 왕인 흥덕왕 때 중국 당나라에 사절로 파견되었다가 귀국하면서 차(茶)의 종자를 가져왔다. 이를 계기로 차의 재배가 확대 보급되어 신라의 왕족, 귀족, 승려들이 즐겨 마시게 되었다.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신으로 당나라에서 차를 전래해 온 관리.
가계 및 인적 사항

김대렴(金大廉)은 『삼국사기』에 '대렴'이라고 이름만 기록되었으나, 중국 당나라에 사절로 파견되었고, 이러한 고위 관료가 이름만 기록된 경우는 김씨 성(姓)을 생략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대렴 역시 성을 갖춘 이름은 김대렴이었다고 보인다. 768년( 혜공왕 4)에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아찬 대렴(大廉)과는 별개의 인물이다.

주요 활동

828년(흥덕왕 3) 김대렴은 새해를 축하하기 위해 당나라에 사절로 파견되었다. 인덕전(麟德殿)에서 당 문종(文宗)을 알현하고 그해 12월 신라로 돌아오면서 씨앗을 가져왔다. 흥덕왕은 씨를 지리산에 심게 하였고, 이것이 점차 보급되어 차 재배가 확산되었다.

신라에서 차가 언제부터 재배되었는지는 분명한 기록이 없다. 『삼국사기』 「설총(薛聰)」 열전에 '다주(茶酒)'가 나오고, 『삼국유사』에는 경덕왕 때의 승려인 충담사(忠談師)가 차를 달이는 도구를 갖고 있었다고 한다. 불교에 '헌다(獻茶) 공양'이라고 하여 부처님께 차를 바치는 예법이 있으므로, 신라 사람들은 법흥왕이 불교를 공인할 무렵에 차의 존재를 알게 되었을 것이다. 『삼국사기』 「흥덕왕」 조에는 선덕왕(善德王) 때부터 재배가 이루어지다가 당나라에서 종자가 도입되면서 성행하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김대렴이 당에서 가져온 차는 신품종이었으며, 지리산 토양에 맞아 생산에 성공하면서 다른 지역으로 보급되어 신라의 왕실, 귀족, 승려들이 차를 즐기는 문화가 형성되었다. 사절 파견과 차 도입 외에 김대렴의 활동에 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
『삼국유사』

단행본

김창석, 『삼국과 통일신라의 유통체계 연구』(일조각, 2004)

논문

崔建, 「韓國靑磁 發生에 관한 背景的 考察」(『古文化』 31, 韓國大學博物館協會, 198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