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사천왕사(四天王寺), 봉성사(奉聖寺), 감은사(感恩寺), 봉덕사(奉德寺), 봉은사(奉恩寺), 영묘사(靈廟寺), 영흥사(永興寺) 등 7개 사원의 성전을 볼 수 있다 이들의 기능과 성격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원의 수선과 유지 및 경제적 관리를 담당한 기관으로 이해하고 있으나, 성전사원이 주로 경주지역에만 집중되어 있고 왕실의 발원에 의해 창건되었기 때문에 원당사원(願堂寺院)으로 보기도 한다. 혹은 신라의 불교통제기관과 관련하여 관사적(官寺的) 기능을 지녔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에 자리잡은 감은사는 원래 문무왕이 왜병 진압을 위해 창건하기 시작했으나, 완공을 보지 못하고 죽은 뒤 신문왕이 부왕을 추복(追福)하기 위해 681년(신문왕 1)에 완성하였다.
감은사에 성전이 설치된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759년(경덕왕 18)에 감은사성전을 ‘수영감은사사원(修營感恩寺使院)’으로 개칭했다는『삼국사기』의 기록으로 보아, 7세기 말 혹은 8세기 초에 설치된 듯하다.
감은사성전은 다른 여러 성전들과 마찬가지로 왕실 발원에 의해 창건된 원찰로서 감은사의 조영과 수리뿐만 아니라 왕실의 봉사기관(奉祀機關)으로서의 기능도 가졌다. 감은사성전의 소속관원으로는 처음에는 금하신(衿荷臣) 1인, 상당(上堂) 1인, 적위(赤位) 1인, 청위(靑位) 1인, 사(史) 2인이 있었다.
759년의 관제개혁 때에 감은사성전의 명칭이 수영감은사사원으로 바뀜에 따라, 금하신은 검교사(檢校使)로, 상당은 부사(副使)로, 적위는 판관(判官)으로, 청위는 녹사(錄事)로, 사는 전(典)으로 개칭되었다.
776년(혜공왕 12)에는 다시 원래 명칭으로 환원되었다가 애장왕 때에 다시 금하신은 영(令)으로, 상당은 경(卿)으로 개칭되었다. 금하신이 될 수 있는 관등은 대아찬(大阿湌)에서부터 각간(角干)까지이며, 상당은 내마(奈麻)에서 아찬(阿飡)까지이고, 청위는 사지(舍知)에서 나마까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