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영창궁과 왕실 사원의 건립, 운영, 제사 의례 등을 지원하던 관부.
제도/관청
설치 시기
677년(문무왕 17)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성전(成典)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영창궁과 왕실 사원의 건립, 운영, 제사의례 등을 지원하던 관부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영창궁을 비롯하여 사천왕사, 봉성사, 감은사, 봉덕사, 봉은사, 영묘사, 영흥사 등 왕실이 건립한 사원에 설치되었고, 금석문 자료로 볼 때 중대에는 황복사, 하대에는 황룡사에도 설치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한편 하대에는 일반 사찰에서 종과 탑의 조성을 위하여 임시로 만든 조직도 성전이라 칭하였다.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영창궁과 왕실 사원의 건립, 운영, 제사 의례 등을 지원하던 관부.
설치 목적
『 삼국사기』에 따르면 677년(문무왕 17)에 영창궁에 처음 영창궁성전을 설치한 이래 684년(신문왕 4)까지 사천왕사, 봉성사, 감은사, 봉덕사, 영묘사, 영흥사 등 왕실이 건립한 사원에 설치되었고, 이후 진지왕의 원찰로 혜공왕 때 건립된 봉은사에도 봉은사성전이 설치되었다. 금석문 자료로 볼 때 중대에는 황복사, 하대에는 황룡사에도 설치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성전은 영창궁 및 왕실 사원의 건립, 운영, 제사 의례 등을 행정적으로 지원하였다.
기능과 역할
성전에는 일반 관청과는 다른, 장관으로 금하신(衿荷臣), 그 이하에 상당(上堂) · 적위(赤位) · 청위(靑位) · 황위(黃位) 등 특수한 관직명의 관원들이 확인된다. 성전은 영창궁 및 왕실사원의 건립을 비롯하여 종, 탑의 조성 등 각종 불사, 그리고 그곳에서 베풀어진 국가의 제사 의례를 행정적 · 재정적으로 뒷받침하였다. 성전이 설치된 사원이 전국의 불교 사찰을 통제하였던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변천사항
759년(경덕왕 18)에 관호(官號) 개혁 때 사천왕사성전이 감사천왕사부(監四天王寺府)로, 봉성사성전이 수영봉성사사원(修營奉聖寺使院)으로, 감은사성전이 수영감은사사원(修營感恩寺使院)으로, 봉덕사성전이 수영봉덕사사원(修營奉德寺使院)으로, 영묘사성전이 수영영묘사사원(修營靈廟寺使院)으로, 영흥사성전이 감영흥사관(監永興寺館)으로 개칭되었다. 776년(혜공왕 12)에 다시 본래대로 바뀌었다. 한편 하대에는 일반 사찰에서 종과 탑의 조성을 위하여 임시로 만든 조직도 성전이라 칭한 사례가 확인된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世
인간 세
부수 一 / 총획 5
宗
마루 종
부수 宀 / 총획 8
abcd
abcd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
공공누리의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미디어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비스에만 활용하도록 허가받은 자료로서, 미디어 자유이용(다운로드)은 불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