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감전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872년(경문왕 12), 황룡사9층목탑을 중수할 때 공역(工役)과 관련된 왕실과의 연락사무나 재정적 지원을 담당하였던 속관(俗官)들로 구성된 통일신라의 임시기구.
제도/관청
설치 시기
872년(경문왕 12)
내용 요약

속감전은 872년(경문왕 12)에 황룡사9층목탑을 중수할 때 공역(工役)과 관련된 왕실과의 연락사무나 재정적 지원을 담당하였던 속관(俗官)들로 구성된 통일신라의 임시기구이다. 속감전을 구성하였던 관료들 가운데 집사시랑은 집사부의 차관으로써, 중수와 관련된 왕명의 출납과 왕실과의 각종 연락사무를 담당하였다. 내성경은 왕실 재정을 담당하였던 내성의 차관으로, 목탑의 중수에 필요한 각종 재원의 마련과 지원 사무를 담당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정의
872년(경문왕 12), 황룡사9층목탑을 중수할 때 공역(工役)과 관련된 왕실과의 연락사무나 재정적 지원을 담당하였던 속관(俗官)들로 구성된 통일신라의 임시기구.
설치 목적

872년(경문왕 12)에 황룡사9층목탑을 중수할 때 목탑 공사를 지원하였던 기구는 크게 세 부류로 구성되었다. 첫째 부류는 중수 공사를 감독하고 행정 운영을 총괄하였던 상설기구인 황룡사 성전(成典)이다. 둘째 부류와 셋째 부류는 목탑 공사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하여 주1의 전폭적인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조직된 임시기구이다.

하나는 승정기구(僧政機構)의 승관(僧官)들로 구성된 도감전(道監典)이고, 다른 하나는 중앙 및 지방행정 관료, 즉 주2들로 구성된 속감전이다. 속감전을 구성하였던 관료들의 면면을 보면 황룡사9층목탑의 중수와 관련하여 왕실과의 연락사무나 재정적 지원을 위하여 조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능과 역할

「황룡사구층목탑찰주본기(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를 보면, 속감전은 패강진도호(浿江鎭都護) 중아간(重阿干) 김견기(金堅其)를 필두로, 집사시랑(執事侍郞) 주3 김팔원(金八元), 내성경(內省卿) 사간(沙干) 김함희(金咸熙), 임관군태수(臨關郡太守) 사간(沙干) 김욱영(金昱榮), 송악군태수(松岳郡太守) 대나마(大奈麻) 김일(金鎰) 등 5명의 고위 관료로 구성되었다.

김견기가 중아간으로 중위제(重位制) 적용 대상자이고, 패강진도호, 집사시랑, 내성경이 6두품을 역임하였던 최고위의 내외관직이었다는 점에서, 이들은 대부분 6두품 신분으로 목탑 중수의 실무 행정과 관련하여 속감전에 소속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들 가운데 우선 집사시랑은 집사부의 차관으로써, 9층목탑의 중수와 관련된 왕명의 출납과 왕실과의 각종 연락사무를 담당하였다. 내성경은 왕실 재정을 담당하였던 내성의 차관으로써, 목탑의 중수에 필요한 각종 재원의 마련과 지원사무를 담당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패강진과 송악군(지금의 개성) 방면은 나당전쟁 이후 왕실이 새롭게 점령하였던 지역으로 왕실의 중요한 재정원이었다. 패강진도호와 송악군태수는 목탑 중수에 필요한 실질적인 재정을 지방에서 충원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김견기는 중수 공사가 개시된 871년(경문왕 11)에 애초 주4의 차관이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곧 패강진도호로 임명되었다. 끝으로 임관군(지금의 울산)은 왕경 인근의 지역이라는 점에서 임관군태수는 목탑 중수에 필요한 공역의 요역 동원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황룡사구층목탑찰주본기(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

단행본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역주 한국고대금석문』-Ⅲ(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논문

이용현, 「황룡사 찰주본기의 재검토」(『신라문물연구』 11, 국립경주박물관, 2018)
남동신, 「신라의 승정기구와 승정제도」(『한국고대사논총』 9,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0)
이영호, 「신라중대 왕실사원의 관사적 기능」(『한국사연구』 43, 한국사연구회, 1983)
변선웅, 「황룡사구층탑지의 연구: 성전과 정법전문제를 중심으로」(『국회도서관보』 10-10, 국회도서관, 1974)
황수영, 「신라 황룡사구층목탑 찰주본기와 그 사리구」(『동양학』3,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1973)
황수영, 「신라 황룡사 구층탑지: 찰주본기에 대하여」(『미술사학연구』 116, 한국미술사학회, 1972)
주석
주1

승려와 승려가 아닌 속인(俗人)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장관에게 속한 관원.    우리말샘

주3

신라 때에 둔, 십칠 관등 가운데 여섯째 등급. 육두품이 오를 수 있었던 가장 높은 관등이다.    우리말샘

주4

통일 신라 시대에, 전국을 나눈 구주(九州) 가운데 지금의 진주(晉州)에 둔 행정 구역. 경덕왕 16년(757)에 청주(菁州)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