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惟正)은 744년(경덕왕 3) 1월 이찬(伊飡)으로 집사부(執事部)의 중시(中侍)에 임명되어 745년 5월까지 재임하였다. 그의 가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딸이 혜공왕의 비인 신보왕후(新寶王后)로, 외척(外戚) 권문(權門)이었음을 알 수 있다. 신보왕후의 아버지는 『 삼국사기(三國史記)』 「혜공왕본기(惠恭王本紀)」에 유성(維誠), 『삼국유사(三國遺事)』 왕력(王曆)에 위정(魏正)으로 되어 있으나, 모두 유정(惟正)의 다른 표기로 동일인으로 보고 있다.
유정은 744년 1월 중시에 임명된 후 1년 5개월 만에 퇴임하였다. 그가 중시를 역임하는 동안 744년 겨울에는 큰 요성(妖星)이 하늘에 열흘 이상 나타났다가 없어졌고, 다음 해 4월에는 수도 경주에 계란만한 우박이 쏟아졌다. 또 5월에는 가뭄이 들었다. 그가 중시를 짧게 역임한 것은 이러한 천재지변을 이유로 사직하였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당시 신라의 중앙 정치는 왕명을 출납(出納) 하던 집사부의 중시를 중심으로 권력이 집중되었다. 성덕왕 · 효성왕 · 경덕왕 · 혜공왕의 4대에 걸쳐 중시를 역임한 가문에서 왕비를 배출하였는데, 그 역시 딸을 혜공왕의 비로 들였다.
당시 유정은 왕구(王舅)로서, 경덕왕과 결탁하여 그의 왕권 강화 정책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그가 중시를 역임할 때 천재지변을 이유로 사직한 것도 경덕왕의 정치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