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효원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병자호란 후 소현세자를 따라 심양에 간 시강원 서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03년(선조 36)
사망 연도
1639년(인조 17)
본관
진주(晉州)
주요 관직
시강원서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강효원은 병자호란 직후에 소현세자를 따라 심양에 간 시강원 서리이다. 병자호란 뒤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인질로 심양에 끌려갔는데, 이때 강효원이 시강원 서리로 따라갔다. 청의 통역관인 정명수가 청의 앞잡이로 방자하게 행동하자 정뇌경과 함께 정명수를 제거하려다 실패하여 두 사람 모두 목숨을 잃었다.

정의
조선 후기 병자호란 후 소현세자를 따라 심양에 간 시강원 서리.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아버지는 겸사복(兼司僕) 강희룡(姜希龍)이다. 아들로 강후정(姜厚精), 강이정(姜二精)이 있다.

주요 활동

병자호란 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봉림대군(鳳林大君)이 후금(後金)의 인질로 심양으로 끌려갈 때에 시강원(侍講院) 서리(書吏)로 따라갔다. 본래 조선인이었지만 후금으로 넘어간 통역관 정명수(鄭命壽)가 오랑캐 앞잡이로 무도하게 행동하였다. 이에 시강원 필선(弼善) 정뇌경(鄭雷卿)이 분노하여 그를 제거하려 하였다. 이에 강효원 등 몇 사람이 동참하였다.

하지만 사전에 일이 누설되었다. 다른 사람들은 혐의를 부정했고, 정뇌경은 모든 책임을 지고 홀로 죽으려 하였는데, 오직 강효원만 그 책임을 인정하여 정뇌경과 함께 죽었다. 1639년(선조 17) 4월 18일에 죽임을 당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가 37세였다. 강효원은 죽임을 당하는 자리에서 정명수를 비호한 관직자들을 크게 꾸짖었다.

소현세자는 이들을 살리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정명수와 청나라 장수 용골대(龍骨大) 등의 방해로 성공하지 못했다. 조선과 청의 관계 때문에 조선 조정도 상황에 개입하지 못하였다.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은 자신들의 옷으로 두 사람의 시신을 덮고 제사를 지냈다. 시신이 조선으로 돌아오자 조정은 시신을 가족에게 주어 동대문 밖 경기도 광주(廣州) 해동리(海東里)에 장사지내도록 하였다.

강효원의 처는 여종으로 당시 20여 세였다. 인조는 강효원의 어머니와 처에게 매달 쌀 6말을 종신토록 지급하게 하였다. 현종은 1668년(현종 9)에 강효원의 이야기를 듣고, 그의 아들 강후정(姜厚精)과 손자 강차석(姜次碩)을 천인에서 벗어나게 했다. 또 강효원 자손들을 대대로 도성 탕춘대성(蕩春臺城)의 수문부장(守門部將)에 임명하도록 조처하였다.

강차석의 아우인 강승석(姜承碩)은 사노(私奴)였다. 송시열이 유생들에게 모금하게 해서 금 30냥을 주인에게 주고 면천(免賤)시켜서 몸종처럼 데리고 다니면서, 그를 충신의 후손으로 대우하였다.

상훈과 추모

정3품 판결사(判決事)에 추증되었다가, 종2품 한성부좌윤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송자대전(宋子大全)』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