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장원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내외 고위 관직을 지내고, 많은 문학작품을 남긴 문인이자 문신.
이칭
중구(仲久)
구당(久堂), 습천(隰川)
시호
문효(文孝)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12년(광해군 4)
사망 연도
1671년(현종 12)
본관
고령(高靈)
주요 저서
구당집(久堂集)
주요 관직
한성부판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장원은 조선 후기 내외 고위 관직을 지내고, 많은 문학작품을 남긴 문인이자 문신이다. 대대로 고관을 배출한 집안 출신이면서 혼맥 역시 뛰어났다. 당파적으로 서인 계열이었다. 관료로서 시인으로서 모두 뛰어난 성과를 보여 주었다.

정의
조선 후기 내외 고위 관직을 지내고, 많은 문학작품을 남긴 문인이자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중구(仲久), 호는 구당(久堂) · 습천(隰川)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사헌부 집의 박세필(朴世弼), 증조할아버지는 좌승지 박정(朴淨), 할아버지는 이조참판 박효성(朴孝誠)이다. 아버지는 평시저 직장 박훤(朴烜), 어머니 청송심씨(靑松沈氏)는 돈녕부(敦寧府) 도정(都正) 심현(沈誢)의 딸이다. 부인 해평윤씨는 윤원지(尹元之)의 딸이자 영의정 윤두수(尹斗壽)의 증손녀다.

주요 활동

1627년(인조 5) 생원이 되었다. 1636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러나 합격자 발표가 미뤄지고 , 병자호란으로 외할아버지인 심현을 따라 강화도로 피난하였다. 예문관 검열 · 봉교, 성균관 전적, 사헌부 감찰, 사간원 정언, 병조좌랑을 역임하였다. 홍문관 수찬에 제수되었지만 외직을 구해 안음(安陰) 현감이 되었다. 1644년 중앙으로 복귀해 수찬, 1645년 부수찬, 이조좌랑을 역임하였다. 김자점(金自點)의 아들 김식(金鉽)에 대한 정랑 천거를 거절하였다. 인조 사후 춘천 부사에 제수되었다.

1653년(효종 4) 승지로 있을 때에 남인의 공격으로 1653년 9월에서 1654년 11월까지 유배에 처해졌다. 처음에는 함경남도 삼수군이었는데 재상들이 그를 위해 상소를 올려 유배지를 흥해(興海, 지금의 포항)로 바꾸었다.

1658년 상주목사에 이어 강원도관찰사를 지냈다. 1663년 이조참판, 대사헌을 지냈고, 궁가(宮家) 소유 경작지에 대한 면세(免稅)의 잘못과 아문(衙門)이 산택(山澤)을 점유(占有)하는 폐단을 건의하였다.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문묘 종사(從祀)를 요청하였다. 1664년(현종 5) 이조판서, 형조판서에 이어 이듬해 대사헌이 되었고, 예조판서와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하였다. 1671년 개성유수로 재직 중 관청에서 사망하였다.

서인 계열이었지만 권력 중심에서 벗어나 있었으며, 많은 문학작품을 남겼다. 어릴 적부터 시재(詩才)가 뛰어났다. 관료로서도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택당(澤堂) 이식(李植)과 남계(南溪) 조정호(趙廷虎) 대제학 [조석윤의 부친]을 스승으로 생각하였다. 김득신(金得臣)이 평생 가까운 친구였다. 박장원이 김득신의 부친 김치(金緻)에게 수학하면서 알게 되었다. 그 외 정두경, 심동구, 장유와 가까웠다. 남구만 역시 그를 “인품이 소탈하고 과묵하고 안정되며 영화와 이익에 관심이 없고 문학이 뛰어나며 정사에 통달하였다.”라고 평가하였다.

학문과 저술

유고를 엮은 『구당집(久堂集)』이 있다. 이 문집은 1730년(영조 6) 저자의 증손자 박문수가 경상도관찰사로 재임할 때 대구 감영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1,700수가 넘는 시(詩)와 사(詞), 부(賦), 산수유기(山水遊記) 등의 작품이 실려 있다. 총 24권으로, 원집 20권과 부록 4권으로 구성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구당집(久堂集)』
『인조실록(仁祖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논문

박성호, 「구당 박장원의 시세계 연구」(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