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들지

목차
관련 정보
의생활
개념
예복을 상징하기 위해 당의, 장옷, 견마기의 소매 수구를 접어 올린 소매 끝 양식.
이칭
이칭
권수(捲袖)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거들지는 여성의 예복을 상징하기 위해 당의, 장옷, 견마기의 소매 수구를 접어 올린 소매 끝 양식이다. 소매 끝 수구 또는 안감 소매 쪽에 흰색 옷감을 덧대어 걷어 올린 형태로, 서양 복식의 턴업(Turn-up) 형태와 같다. 일반적으로 겉감과 같거나 질이 더 좋은 옷감을 사용하며, 무늬가 있거나 없는 것 모두 사용하였다. 겉에서 볼 때는 흰색 끝동을 단 것처럼 보인다.

목차
정의
예복을 상징하기 위해 당의, 장옷, 견마기의 소매 수구를 접어 올린 소매 끝 양식.
내용

조선시대 여성 복식 중 거들지 양식은 당의, 장옷, 견마기에서 확인된다.

당의는 왕실 이하 사대부의 여인들이 소례복으로 입는 대표적인 예복으로, 소매 끝에 거들지가 달린 것이 특징이다. 출토품 중 안동권씨(16641722) 당의의 거들지 양식은 안감 소매 끝에 흰색 명주를 연결하고 겉감에는 한지를 대어 준 후 안감쪽의 명주를 겉감쪽으로 걷어 넘긴 형태이다. 청연군주(17541821) 당의는 안감을 길게 재단하여 한지심 없이 겉감 쪽으로 걷어 올린 형태이다. 해평윤씨(16601701)의 연화문단 당의와 공단 당의도 유사한 방식이다. 덕온공주(18221844)의 당의 2점 중 자적 당의는 소매 안감에서 연결된 흰색의 공단 거들지가 달렸다. 덕온공주의 혼례 때에 항아가 입은 항아 당의(1837년)는 흰 한지로 만든 거들지가 부착되어 있다. 19~20세기의 당의의 거들지 소재는 사(紗), 단(緞), 주(紬)로 다양하고 한지를 심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덕온공주의 녹색 홑 당의는 이색적으로 모시를 심으로 받치고 있다.

견마기는 저고리를 세 벌 갖추어 성장 차림을 할 때 가장 위에 입은 예장용 저고리이다. 견마기의 소매 끝에 거들지가 부착되어 있다는 사실은 고종 24년(1887) 정해년 『진찬의궤』 품목조에서 확인된다. 사천여령 9명의 초록색 곁마기감[絹莫只 外拱 草綠八兩紬]을 마련했는데 이때 백색의 거들지 옷감도 포함되어 있다. 이 기록으로 견마기라는 옷에는 흰색 거들지가 부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수원박물관 소장 안동김씨 여인(17세기 중반)의 곁마기와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해평윤씨 곁마기, 경주이씨(1700년대 중후반 추정) 견마기가 있다. 안감 소매 끝에 안감보다 질 좋은 명주를 덧붙여 소매 끝단을 겉감쪽으로 접어 올리면 안감 소매에 부착한 질 좋은 명주 옷감이 겉면에 드러나면서 거들지가 완성된다. 전세품으로는 덕온공주의 부금 회장저고리가 있는데, 끝동에 흰색 모시로 된 거들지를 덮어 준 형태여서 곁마기에 해당하는 옷이다.

장옷은 저고리와 치마를 입고 덧입었던 여성의 대표적인 외출복이다. 소매 끝에 흰색 거들지를 단 것이 특징이다. 1500년대에는 긴 소매의 수구 부분을 접어서 거들지를 만든 단순한 형태이다. 이외에도 안감 소매 끝에 얇은 옷감을 덧 붙여 끝동 너비 정도로 접어 올린 형태가 있으며, 소매 끝동을 길게 달아 겉으로 접어 올린 것도 있다. 소매 끝단을 접어 올리게 되어 소매 안감의 끝 부분이 겉으로 보이게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소매 끝 안감은 겉감과 동일하거나 겉감보다 더 좋은 옷감을 사용한다.

19세기 이후 장옷은 소매 끝에 흰색 거들지가 부착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 시기의 장옷은 높은 신분에서 장옷을 입거나 쓰개로 착장하였기 때문에 예복적 특정이 강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전세품의 장옷은 소매 끝에 한지심을 만든 흰색 천을 부착한 후 겉쪽으로 걷어올린 거들지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쓰임으로 사용된 거들지는 시대에 따라 크기의 변화를 보이는데, 소매 길이가 줄어 들면서 거들지 너비도 좁아졌으며, 끝동보다 다소 넓게 제작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정해년 『진찬의궤(進饌儀軌)』

단행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진주류씨 류정의 부인 경주이씨 출토복식』(단국대학교 출판부, 2017)

논문

김은희,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박성실, 「朝鮮後期 『進爵儀軌』·『進饌儀軌』類의 服飾 硏究」(『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권2, 민속원, 2005)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