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여자소비조합 ()

근대사
단체
1930년 경성에 설립되었던 여성 소비조합.
단체
설립 시기
1930년
해체 시기
1932년 이후
설립지
경성
소재지
경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경성여자소비조합은 1930년 경성에 설립되었던 여성 소비조합이다. 설립 목적은 생산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조합원의 경제생활을 개선하는 것이었다. 조합원은 경성 및 인근에 거주하는 여성으로 한정하였으며, 1구좌당 5원의 가입비를 납부하였다. 직접 대리점을 개업하거나 타 상점과 특약을 맺어 조합원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학교와 병원 등에 상품을 공급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정의
1930년 경성에 설립되었던 여성 소비조합.
설립 목적

생산자와의 직접 거래를 통해 유통 과정에서 중간 상인이 취하는 이익을 제거함으로써 조합원들의 경제생활을 개선하기 위하여 조직되었다.

변천 및 현황

1929년 8월 18일 경성여자소비조합 창립준비위원회가 개최되었고, 1930년 3월 9일 수표정(水標町: 지금의 서울특별시 중구) 조선교육협회에서 약 5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창립대회가 개최되었다. 조합원 자격은 경성이나 경성 부근에 거주하는 가정 부인, 직업 부인 또는 여학생으로 가입비는 1구좌당 5원(圓)으로 하였다.

창립대회에서 발표한 창립 취지에 따르면 조합원은 가정에서 필요로 하는 일용품을 원가에 가까운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고 하였다. 임원으로는 이사장 김수준(金繡準), 사무이사 황애덕(黃愛德), 상무이사 김정원(金貞媛)과 김상순(金相舜)이 선임되었다. 경성여자소비조합은 1932년 이후 침체 상태에 빠지고 이후의 활동은 확인되지 않는다.

주요 활동

1930년 4월 경성 낙원동(樂園洞: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대리점을 개업하였고, 특약을 맺은 상점에서는 할인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1930년 9월부터는 경성부 6개 학교와 부인병원 등에 식료품을 공급하기로 하고, 조합원에게는 배달을 실시하는 등 그 활동 범위를 넓혀갔다.

『삼천리(三千里)』에서 소개한 내용을 보면, 경성여자소비조합의 모토는 "생산자의 손에서 물품을 직접 갖다가 소비하자, 중간 착취를 폐지하는 데서 우리 생활을 우선 개선하자"는 것이었다고 한다.

의의 및 평가

당시 대부분의 협동조합이 남성 중심이었고, 농촌 지역이 주 대상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경성여자소비조합은 여성을 중심으로 한 대도시 소비조합을 설립하여 경제적 생활 수준 향상을 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논문

김성은, 「1930년대 황애덕의 농촌사업과 여성운동」(『한국기독교와 역사』 35,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1)

신문 · 잡지 기사

『매일신보』(1932. 10. 24)
『중외일보』(1930. 8. 22)
『중외일보』(1930. 3. 14)
『중외일보』(1930. 3. 11)
『중외일보』(1929. 11. 10)
『동아일보』(1929. 8. 2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