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

현대음악
단체
1976년 11월 15일, 광주시 산하에 소년소녀로 창단된 합창 연주 단체.
단체
설립 시기
1976년 11월 15일
설립자
광주시
설립지
광주광역시
소재지
광주예술의전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은 1976년 11월 15일 광주시 산하에 소년소녀로 창단된 합창 연주 단체이다. 청소년들의 정서 함양과 합창인구의 저변 확대, 훌륭한 예술인 발굴·육성을 위해 설립되었다. 단원은 모두 무급 비상임제로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연수당·장학금·단복·간식이 제공되며, 공연 참여 시 봉사활동 인증, 음악캠프 및 각종 워크숍 비용 지원, 각종 국내·해외 초청공연 체재 비용 지원의 특권이 주어진다.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광주예술의전당에 상주하고 있다.

정의
1976년 11월 15일, 광주시 산하에 소년소녀로 창단된 합창 연주 단체.
설립 목적

1976년 11월 15일 창단되어 40여 년 간의 역사와 예술적 깊이를 가진 광주광역시 산하의 합창연주 단체이다. 청소년들의 정서 함양과 합창인구의 저변 확대, 훌륭한 예술인 발굴 · 육성을 위해 설립되었다. 단원은 모두 무급 비상임제로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다.

변천 및 현황

초대 단장 겸 상임지휘자 유웅장(1976.111984.5)에 이어 제2대 김운영(1985.11998.12)이 상임지휘자로 활동하였다. 제3대 윤영문(2000.12005.12), 제4대 박호진(2006.22009.12), 제5대 이어진(2010.12013.9)에 이어 제6대 윤영문(2014.12019.12)이 다시 취임하였다. 제7대 지휘자로 박주현(2021.1~2023.1)이 맡아 「사운드 오브 주2 등 여러 뮤지컬 작품과 수준 높은 공연을 하여 광주 시민들의 참여와 사랑을 받았다. 2023년 6월 제8대 지휘자 권기원이 지휘봉을 잡고 활동하고 있다.

주요 활동

1977년 6월 24일 창단연주회를 시작으로 2023년 6월까지 137회의 정기연주회를 비롯하여 수시 공연, 해외 공연, 기념 음악회, 자선 음악회 등의 공연을 가졌으며, 청소년들의 정서 함양과 합창음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동요와 뮤지컬 등 다양한 주4를 개발하여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주3 성격의 공연을 주로 하는 것이 특징이며, 뮤지컬 「백설공주와 일곱난장이」, 「선생님 사랑해요」, 「오공이」, 「여우왕자」 등의 명곡을 공연했다.

또한 해외 연주회를 통해 교포위문과 문화사절로서의 주5에도 한몫을 하고 있으며, 광주비엔날레 행사에 출연하여 전국에서 찾아 온 관람객에게 훌륭한 합창을 선보인 바 있다. 2008년 11월에는 주6에서 정기공연을 개최한 이후 정기공연 5회, 수시공연 1회, 찾아가는 예술단 공연 3회를 계획하여 다른 지역에 방문하여 공연하였다.

2022년에는 특별기획으로 영어오페라 <피노키오>를 시작으로 매년 한 편씩 영어오페라를 제작할 예정으로 음악, 언어, 연기, 안무 등 체계적인 훈련을 진행하며 세계적인 청소년합창단으로 발돋움하고자 한다. 아울러 단원에 맞는 발성법 지도, 합창예술의 예능적 성취감과 함께 미래 세대의 사회화 과정에 필요한 정서적 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공연 수당 · 장학금 · 단복 · 간식 제공, 공연 참여시 봉사 활동 인증, 음악캠프 및 각종 워크숍 비용 지원, 각종 국내 · 해외 초청공연 체재 비용 지원, 음악 · 영어 교육 프로그램 무료 수강 등의 특전을 주고 있다.

2023년 6월 현재 단장 아래 단무장을 비롯하여 반주자, 가창 지도, 안무자, 기획 홍보, 악보 담당 등 스태프와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알토 등 20여 명의 단원이 활동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은 매년 전국시립소년소녀합창제 등 중앙무대에 출연하여 수준 높은 공연으로 다른 시도 관객으로부터 많은 찬사를 받으며 광주의 문화예술을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민경찬,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두리미디어, 2006)
전인평, 『한국음악사』(현대음악출판사, 2000)
『문예총감(文藝總鑑)』(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8)

인터넷 자료

「광주문화예술회관」(gjart.gwangju.go.kr)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https://gjart.gwangju.go.kr/)
「광주예술의전당」(https://gjart.gwangju.go.kr/)
주석
주1

한 분야의 근본을 이루는 밑바탕을 늘여서 크게 하는 일. 우리말샘

주2

미국의 로저스가 작곡하고 해머스타인이 대본을 쓴 뮤지컬. 오스트리아의 트라프 가족이 겪은 실화를 뮤지컬화한 것으로, 1959년에 초연되었으며 1965년에 영화화되었다. 우리말샘

주3

가족 구성원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음악으로 짜인 음악회. 우리말샘

주4

음악가나 극단 등이 무대 위에서 공연할 수 있도록 준비한 곡목이나 연극 제목의 목록. 우리말샘

주5

나라의 권위나 위세를 널리 떨치게 함. 우리말샘

주6

광주광역시에 있는 문화 예술 회관. 1991년에 개관하였으며 대극장, 소극장, 야외 공연장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 연주회, 오페라, 전시회 등 다양한 문화 예술 행사가 열린다. 우리말샘

주7

여성이나 어린이의 가장 높은 음역(音域). 또는 그 음역의 가수. 우리말샘

주8

여성의 소프라노와 알토의 중간 음역(音域). 또는 그 음역의 가수. 대개 시(C) 음 아래의 에이(A) 음에서부터 시 음 위의 에프(F) 음이나 지(G) 음까지 낸다. 우리말샘

주9

여성의 가장 낮은 음역. 또는 그 음역의 가수.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