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수총화 ()

목차
관련 정보
금수총화
금수총화
조선시대사
문헌
사물의 근원 · 연혁 · 일화 등을 모아 엮은 유서(類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사물의 근원 · 연혁 · 일화 등을 모아 엮은 유서(類書).
내용

6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서 편자와 필사 연도는 알 수 없다.

1책에 천도문(天道門)·지도문(地道門)·재상문(災祥門)·군도문(君道門) 상, 2책에 군도문 하, 3책에 인품문(人品門)·인륜문(人倫門)·인사문(人事門)·만물문(萬物門), 4책에 이부(吏部)·호부(戶部) 상, 5책에 호부 하·예부(禮部)·병부(兵部), 6책에 형부(刑部)·공부(工部)·시사문(時事門) 등 15문으로 종류를 나누어 기술하였다.

「천도문」은 천·역상(曆象)·태극·단오·추석 등 하늘과 절기에 관한 내용으로, 천체의 운행에 따른 역상의 변천과 절기의 순환 등에 따라 해야 할 일과 명절 행사 등을, 「지도문」은 산천·석(石) 등 지학 및 지리에 관한 것으로 자연을 이용해 생활을 윤택하게 하는 일을, 「재상문」은 재상(災祥)·서상(瑞祥)의 징후와 가뭄·홍수·화재·질병 등 재해의 미연 방지 및 이에 대한 대책을 기술하였다.

「군도문」에서는 태상황(太上皇)·태후·전위(傳位)·양위(讓位) 등 임금의 구실 및 궁중의식에 관한 것, 「신도문」에서는 신하로서 임금을 섬기는 절차, 「인품문」에서는 왕자·형제왕(兄弟王)·종척(宗戚) 등 인품에 관계되는 것, 「인륜문」에서는 족보·성명 등 인륜과 관계되는 것, 「인사문」에서는 출처(出處) 등 인사에 관한 것, 「만물문」에서는 동·식물에 관해 기술하였다.

「이부」에서는 천관(天官)·관제·전선(銓選) 등 관리에 관한 것, 「호부」에서는 탁지(度支)·이재(理財) 등 재정에 관한 것과 방적·음식 등 일상 생활에 관한 것, 「예부」에서는 석전(釋奠:음력 2월과 8월의 매달 초순에 丁이 드는 날에 문묘에서 선성(先聖)과 선사(先師)에게 지내는 제사·학교 등 의례와 문교에 관한 것, 「병부」에서는 노군(勞軍)·친정(親征) 등 군정에 관한 것을 기술하였다.

「형부」에서는 형정과 시죄(施罪)에 관한 것, 「공부」에서는 축성(築城)·교량 등 토목·건축에 관한 것을 기술했으며, 「시사문」에서는 수명(受命)·향국장구(享國長久)·사대(事大) 등 국가의 행사와 의례에 관해 기록하였다.

각 부문의 내용 중 척화(斥和)의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18세기 이후의 저작으로 추정된다. 다른 유서와 달리 6조에 관한 기술이 있는 것이 특이하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