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마리아 ()

근대사
인물
고려혁명군으로 활동하고 중국 중앙군관학교 서북북교의 러시아어 교관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이칭
추산(秋山)
아명
김수란(金秀蘭)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03년
사망 연도
1970년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한성부 남서 두모방 왕십리계 신당리동(지금의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주요 경력
고려혁명군 피복창 주임|중국 중앙군관학교 서북분교 러시아어 교관
대표 상훈
건국포장(1977)|건국훈장 애국장(1990)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마리아는 고려혁명군으로 활동하고 중국 중앙군관학교 서북북교의 러시아어 교관을 역임한 독립운동가이다. 1922년 고려혁명군에 정치부원으로 입단하여 피복창 주임이 되었다. 1931년 만주사변 발발 이후 이범석이 마점산 부대와 함께 중국군으로서 항일전에 참여할 때 마점산 장군의 통역관을 지냈다. 1940년 9월 한국광복군이 창설된 이후 중국 중앙군관학교 서북분교에서 러시아어 교관을 역임하였다.

정의
고려혁명군으로 활동하고 중국 중앙군관학교 서북북교의 러시아어 교관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인적사항

김마리아(金嗎利亞, 1903~1970)는 한성부 남서 두모방(성외) 왕십리계 신당리동(지금의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에서 아버지 김동수(金東守)의 딸로 태어났다.

주요 활동

1922년 솔밭관 한족공산당 군대가 고려혁명군으로 개편된 후 정치부원으로 입단하여 피복창(被服廠) 주임이 되었다. 1925년 8월 청산리 대첩에 중대장으로 참가하여 김좌진을 도운 이범석과 결혼하였다.

1931년 만주사변(滿洲事變) 발발 이후 이범석이 마잔산〔馬占山〕 부대와 함께 중국군으로서 항일전에 참여할 때 중국어와 러시아어에 능통한 특기를 살려 마잔산 장군의 통역관을 지냈다. 마잔산 부대가 계속 패하면서 러시아로 넘어가자 톰스크(Tomsk)에 있는 수용소에서 8개월간 생활하고 1933년에 풀려났다.

1940년 9월 한국광복군이 창설된 이후 중국 중앙군관학교 서북분교에서 러시아어 교관으로 생활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追敍)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범석, 『우둥불』(사상사, 1971)

논문

김민호, 「이범석의 생애와 독립운동」(『한국독립운동사연구』 44, 201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