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금산목장성 ( )

남해장성
남해장성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에 있는 조선시대 목장성.
이칭
이칭
금산(곶) 목장, 금산 목장성, 동천 목장성, 금산장 목장, 남해 금산 목장성
유적
건립 시기
조선시대
관련 국가
조선
관련 단체
경상남도
높이
2m
둘레
15km
소재지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신전리 115번지 일원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시도기념물(1996년 3월 11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신전리 115번지 일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남해 금산목장성(南海 錦山牧場城)은 경상남도 남해 금산에서 지족리 수장포와 물건리 대지포 구간에 걸쳐 ‘팔(八)’자의 형태로 축조된 조선 전기의 동천 목장성이다. 목장성은 섬이나 바다로 돌출한 반도상의 지형을 차단하여 말을 기를 목적으로 만든 시설이다. 동천 목장성은 조선 단종 연간에 초축되었으며, 이후 금산 목장에 편입되었다. 이 목장성이 장성으로 불린 까닭은 성의 둘레가 15km로 여타의 성들보다 둘레가 훨씬 길었기 때문이다. 이 성은 임진왜란 때 일시적으로 관방성의 역할을 하였고, 동천 주변에서는 일시적으로 경작도 이루어졌다.

정의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에 있는 조선시대 목장성.
건립 경위

마정(馬政)은 고려시대에는 전목사, 조선시대에는 사복시를 설치하여 담당하도록 하였을 만큼 왕실의 중요한 사업이었다. 조선시대 단종 연간에 의정부에서 전라도 강진현 계참곶(界站串), 경상도 동래현 석을포(石乙浦), 남해현 금산곶(錦山串)에 목장을 만들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경상도속찬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같은 기록이 나온다.

임진왜란 이후 금산에 목장이 다시 설치되는데, 동천곶에 사복시를 설치했다는 기록이 「목장 지도」에 남아 있다. 동천은 금산에서 동쪽 바다로 흐르는 하천으로 1872년 「지방 지도」에 기록되어 있다. 이 지도에 나오는 금산 목장성은 곡포를 중앙에 두고 팔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고 중간에는 문도 설치되어 있었다. 이러한 금산 목장성의 위치는 남해 금산목장성(南海 錦山牧場城)이 확인되는 구간과 부합한다. 「여지도서」에는 동천곶 목장을 폐지하였다고 나오나 『대동지지』에는 금산곶 목장과 동천곶 목장이 모두 남아 있어 조선 후기에 들어 동천곶 목장의 치폐에 변화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경상도여지집성』을 보면, 태복시에서 동천(凍川) 땅을 점유하여 말을 길렀는데, 이 일이 백성들에게 해가 되자 동천의 목장을 창선 목장으로 돌렸다고 한다. 1705년(숙종 31) 남해 이동면 난곡사 앞에 건립된 관방성비에는 '난포에서 유천까지 돌로 만든 일자성은 왜적을 막은 관방성으로, 1657년(효종 8) 태복시가 그곳에 있던 전답을 점유하면서 이 성을 마성이 아니라 관방성으로 인정하여 비를 세우게 된 것'이라 기록되어 있다.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남해 동천 목장에서도 백성들이 상당 기간 농사를 지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북벌을 계획한 효종이 군마를 육성할 곳으로 도서와 황무지에 목장을 설치하면서 조선 전기에 운영되던 금산장 목장은 다시 조정의 목마장(牧馬場)으로 편입되었다. 이로 인해 이전까지 이 일대에서 전답을 경작하던 농민들과 갈등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기록에서 조선 전기 목장성의 일부가 임진왜란 당시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한 관방성으로 전용된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임진왜란으로 갈 곳 잃은 김해와 거제의 백성들을 흥선도로 보내 농사를 짓고 살게 함으로써 군량도 충족시켰음을 짐작할 수 있다.

형태와 특징

남해 금산목장성은 남해 금산에서 지족리 수장포와 물건리 대지포 구간에 걸쳐 ‘팔(八)’자의 형태로 축조된 긴 석축으로 그 끝이 바다에 닿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남아 있는 석축의 길이는 총 15km에 이르며, 높이는 1~2m 내외이고 폭은 대체로 2m를 넘지 않게 협축 방식으로 축조하였다.

남해 금산목장성은 30~50cm 내외의 장방형(長方形) 자연 할석(割石)을 이용하여 석재를 옆으로 뉘어 품(品)자의 형태로 쌓아 올렸다. 이렇게 장방형의 자연석을 협축의 방식으로 쌓아올린 수법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사용된 축조 수법이다.

남해 금산목장성은 논과 밭 주변의 성벽이 많이 훼손되어 성의 형체를 확인하기 어렵다. 다만 임야 안에 있는 석축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남해 금산 보리암 뒷산으로 오르는 임도 주변에는 비교적 양호한 상태의 석축이 남아 있다.

의의 및 평가

남해 금산목장성은 조선 단종 연간에 설치된 금산곶 목장성이다. 조선 후기 「목장 지도」에는 동천곶 목장을 폐하고 금산 목장을 종전 55리에서 100리로 늘려 설치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목장성을 이전에는 흔히 남해 장성이라 불렀으나 그 용도에 부합하도록 남해 금산목장성이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

참고문헌

원전

『단종실록』
『경상도속찬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목장지도』
『여지집성』
『조선왕조실록』
『1872년 지방지도 남해』

단행본

남해문화원, 『남해금석문총람』(2016)
남도영, 『한국마정사』(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1996)

논문

나동욱·이철영, 「울산 남목마성에 대한 고찰」(『한국성곽학보』 17, 2010)
홍성우·김재영·강영수, 「남해 흥선목장의 공간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야외고고학』 17, 2013)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