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비 ()

목차
관련 정보
다비식
다비식
불교
의례·행사
불교에서 전통적으로 시신을 화장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화장 장례의식.
목차
정의
불교에서 전통적으로 시신을 화장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화장 장례의식.
개설

범어 자피타(Jha-pita)를 음역한 말로서 분소(焚燒) · 연소(燃燒) 등으로 의역(意譯)되며, 시체를 화장하는 일을 뜻하는 말이다.

내용

이 의식의 절차는 먼저 오방불(五方佛)에 귀의하여 오방불의 자비심으로 죽은 이의 영혼을 잘 인도하여 줄 것을 발원한다. 이어서 죽은 이가 승려였을 경우, 삭발시키는 삭발의식을 행하고, 몸을 깨끗이 한다는 뜻에서 목욕 · 세수 · 세족 의식을 차례대로 행한다.

다음으로 죽은 이에게 옷을 입히는 착군(着裙)과 착의(着衣), 관을 쓰게 하는 착관의식(着冠儀式)을 행한 뒤, 죽은 이의 영혼을 정좌시키는 정좌의식으로 정좌편(正坐篇)과 안좌게(安坐偈)를 염불하며, 죽은 이의 영혼에게 음식을 베푸는 시식(施食)을 행한다.

입관한 뒤 관을 운구하게 되는데 이때의 발인의식을 기관(起棺)이라고 한다. 기관의식 때는 영혼에게 행하는 설법인 착어(着語)를 비롯하여, 축원을 행하며 왕생극락을 바라는 ‘나무아미타불’ 염불을 계속한다.

화장장에 이르기 전 주1를 지내며, 화장장에 이르러서는 주2주3의 의식을 행한다. 이 의식은 화장을 하게 되면 고통을 떠나서 열반에 들게 되며 영생을 얻음을 뜻하는 의식이다. 이때 시신에 불을 붙인다.

이어서 죽은 이의 영혼을 저 세상으로 보내는 봉송의식(奉送儀式)을 행하고, 죽은 이의 영혼이 새로운 몸을 받아 새로운 옷을 갈아입을 것을 바라는 창의의식(唱衣儀式)을 행한 다음,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수습하여 분쇄하고 흩어버리는 기골(起骨) · 습골(拾骨) · 쇄골(碎骨) 의식을 행한다. 이 때 환귀본토진언(還歸本土眞言)을 외면서 영혼이 원래의 본모습으로 돌아갈 것을 발원한다.

이 의식은 죽음이 영원히 없어지고 마는 것이 아니라 살아서 지은 업력(業力)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이라는 불교의 교설과, 선업(善業)을 닦아야 극락왕생할 수 있다는 불교의 생사관에 입각한 장례절차라는 데 큰 뜻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불교가 전래된 뒤부터 지금까지 이 의식이 꾸준히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

『다비문(茶毘文)』
『석문의범(釋門儀範)』
주석
주1

발인할 때에, 문 앞에서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주2

횃불을 켬. 우리말샘

주3

화장할 때에 송장을 태울 나무인 소산(燒山)에 불을 붙임. 우리말샘

집필자
홍윤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