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그리스도인회보 (Kristos)

개신교
문헌
대한제국기,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가 편집하여 발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개신교 신문.
이칭
이칭
죠션크리스도인회보, 대한크리스도인회보, The Korean Christian Advocate
문헌/연속간행물
창간 연도
1897년
종간 연도
1900년
간행자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
간행주기
주간
총호수
187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한그리스도인회보는 대한제국기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가 편집하여 발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개신교 신문이다. 1897년 2월 2일 아펜젤러가 책임을 맡고 한국인 최병헌(崔炳憲), 노병선(盧炳善)이 편집인으로 참여하여 순한글로 정동 한미화활판소에서 매주 발행하였다.

정의
대한제국기,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가 편집하여 발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개신교 신문.
창간 경위

1897년 2월 2일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가 창간한 우리나라 최초의 개신교 신문이다. 아펜젤러가 책임을 맡고 한국인 최병헌(崔炳憲), 노병선(盧炳善)이 편집인으로 참여하였고, 순한글로 정동 한미화활판소에서 매주 발행하였다.

『죠션크리스도인회보』의 창간은 1896년 4월 7일 독립신문이 발행된 지 10개월 뒤의 일로, 독립신문으로부터 많은 자극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1897년 12월 국호가 대한제국으로 바뀌자 12월 8일부터 제호를 『대한크리스도인회보』로 바꾸었고, 1900년 1월 3일부터 『대한그리스도인회보』로 다시 바꾸었다.

구성과 내용

주로 4면이었으나 때로 6면 혹은 8면으로 발행되기도 했으며, 1898년 1월부터는 6면으로 발행한다고 밝혔다. 이때부터 ‘내보’와 ‘외보’로 교회 소식과 외국 소식을 구분하여 게재하였다. 1897년 제1권 제1호부터 제48호, 1898년 제2권 제1호부터 제52호, 1899년 제3권 제1호부터 제52호, 1900년 제4권 제1호부터 제35호까지 발행되었다.

창간호에서 신문 발행의 목적을 진리의 근원을 알리고 지식과 학문을 널리 전하여 읽는 사람들이 진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하면서, 선교사와 한국 교인들을 위한 주1 신문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동양을 넘어 세계 각국의 소식을 전하겠다고 밝혔다. 서양의 사상과 문화를 소개함으로써 청일전쟁 이후 한국 사회의 문제였던 주2’를 기독교인뿐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전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선교사들은 한국에서 서구 기독교 문명을 통한 주3를 목적으로 하였다.

학문, 지식, 기술과 법률, 정치 등 발달된 서구의 문명개화된 모습을 소개하고, 한국의 현재 상황을 비판하고 개선을 촉구하였다. 한국에 필요한 것은 실용 학문의 진작과 산업 개발, 그리고 공평하고 진보된 법률을 갖추고 백성의 권리를 바로 세우는 일이며, 주4 등의 악습을 없애고, 남녀 평등과 교육을 강조하였다. 기독교를 받아들이면 서양처럼 문명이 진보할 수 있다고 하여 문명개화와 기독교를 연결시켰다.

변천과 현황

『대한크리스도인회보』는 1897년 4월 1일에 언더우드(Horace G. 주5가 창간한 『그리스도신문』과 더불어 한국 교계 신문의 쌍벽을 이루었다. 1900년 9월 아펜젤러가 주6 휴가로 귀국하게 되면서 신문 발행은 그 해 8월 29일로 중단되었고, 아펜젤러가 귀환한 후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기 때문에 다시 간행되지 못했다.

이후 미국의 남북감리교 합동으로 1905년 1월부터 『그리스도인회보』를 내다가 같은 해 7월 교회연합 운동의 일환으로 장로교의 『그리스도신문』으로 통합되었다. 1907년 11월부터 『예수교신보』로 바꾸고 두 주에 한 번씩 신문을 발간했다. 이후 1915년 12월부터 『기독신보』라는 장로교와 감리교 두 교파의 주7로 재출발하여 1937년까지 발행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류대영, 『한국 근현대사와 기독교』 (푸른역사, 2009)
옥성득, 『첫 사건으로 본 초대 한국교회사』 (도서출판 짓다, 2016)

논문

류대영, 「한말 기독교 신문의 문명개화론」 (『한국기독교와 역사』 22,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5)
주석
주1

종교에 관련된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활동 분야. 우리말샘

주2

낡은 폐습을 타파하고 발달된 문명을 받아들여 발전함. 우리말샘

주3

구세주의 은혜나 구원을 받도록 사람들에게 구세주의 말씀을 전하는 일. 우리말샘

주4

어린 나이에 일찍 결혼함. 또는 그렇게 한 혼인. 우리말샘

주5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미국의 의학자ㆍ선교사(1859~1916). 우리나라 이름은 원두우(元杜尤). 1884년에 초대 주한(駐韓) 선교사로서 경신 학교를 설립하고, 1915년에는 연희 전문학교의 교장이 되어 교육 사업에 헌신하였다. 저서에 ≪영한사전≫, ≪한영사전≫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6

레위기에 나오는 희년법(禧年法)에 근거하여 유대 사람이 7년마다 1년씩 쉬는 해. 이해에는 종에게 자유를 주고 빚을 탕감해 주었다. 우리말샘

주7

특정한 개인이나 조직, 단체 따위가 그 기관의 목적을 이루고 이념 따위를 널리 펴기 위하여 발행하는 신문.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