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진흥원 ()

불교
단체
1975년, 종파를 초월하여 불교 발전을 위해 설립된 국내 최대 규모의 불교 진흥 단체.
단체
설립 시기
1975년 8월 16일
설립자
대원 장경호
설립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20 다보빌딩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20 다보빌딩
발간지
월간 『불교와 문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한불교진흥원은 종파를 초월하여 불교 발전을 지원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불교 진흥 단체이다. (주)동국제강의 창업주인 대원 장경호의 원력과 30억 6천여만 원의 기부로 1975년 8월 16일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었으며, 불교방송(BBS) 개국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정의
1975년, 종파를 초월하여 불교 발전을 위해 설립된 국내 최대 규모의 불교 진흥 단체.
설립 목적

대한불교진흥원은 ㈜동국제강의 창업주이자 불교 대중화에 헌신한 대원 장경호의 불교 중흥을 위한 서원과 주2 30억 6천여만 원의 기부로 재단법인을 설립하면서 출발하였다. 당시 구태회(具泰會) · 황산덕(黃山德) · 이선근(李瑄根) 등이 참여하였다.

대한불교진흥원은 1975년 8월 16일 설립된 이후, 불교의 현대화 · 생활화 · 대중화를 목표로 국가와 인류 사회에 기여하는 불교, 그리고 시대 상황에 맞는 불교 진흥을 위해 노력해왔다. 현대사회와 문화 전반에 대한 불교의 현대적 조망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올바른 길잡이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불교진흥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대한불교진흥원은 ‘세상의 모든 불교단체와 연대하여 온누리를 불국토로 만든다’, ‘세상의 모든 불자들과 생활 속에서 주1를 실천한다’, ‘세상의 모든 불자들과 손을 잡고 사회적 깨달음을 추구한다’는 설립 이념을 실천하고 있다.

변천 및 현황

대한불교진흥원은 1988년부터 불교방송(BBS)설립을 추진하여 1990년 개국까지 주도적 역할을 하였으며, 이후로도 불교방송 운영에 많은 기여를 해오고 있다. 이사회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산하에는 사무국을 두고 있다. 대한불교진흥원은 종파를 초월하여 불교 발전에 힘쓰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불교 진흥 단체라고 할 수 있다.

주요 활동

대한불교진흥원은 1982년 『불경선집』을 발간하였으며, 1986년 불교계의 숙원이던 통일 『법요집(法要集)』을 발간하여 보급하고 있다. 1993년 『한국불교총람』을 발간하였으며, 1998년 그 개정판을 다시 발간하였다. 1992년부터 주3 『다보』를 발간하였으며, 1997년부터 제호를 『불교와 문화』로 바꾸어 계속 발간하고 있다.

대한불교진흥원은 시대 상황에 맞는 불교 진흥을 목표로 글로벌 시대를 선도해 나갈 불교 인재 발굴과 양성을 위한 ‘장학사업’, 불교사상과 불교정신의 고양을 위한 ‘학술사업’, 그리고 디지털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불교 뉴미디어의 모델 제시와 다양한 콘텐츠 개발 등의 ‘문화사업’을 3대 중점사업으로 하고 있다. 2023년 현재, 공모 · 시상사업으로 대원상 시상, 원효학술상 시상, 대원청년 불자상 · 동아리상 공모, 불교 기관 · 단체 지원사업 공모, 대원불교 학술 콘텐츠 공모 등을 하고 있다. 교육 · 문화사업으로는 대원아카데미, 디지털대원아카데미, 대원아카데미 특강, 유튜브 헬로붓다TV, 월간 불교문화 등을 하고 있다. 법회 · 강좌사업으로는 다보원, 다보법회, 화요열린강좌 등을 하고 있다.

주석
주1

태어나고 죽는 현실의 괴로움에서 번뇌와 고통이 없는 경지인 피안으로 건넌다는 뜻으로, 열반에 이르고자 하는 보살의 수행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신불(神佛)을 섬기거나 남을 도와주기 위하여 깨끗하게 쓰는 재물. 우리말샘

주3

계절에 따라 한 해에 네 번씩 발행하는 잡지.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