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상대감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통일신라시대, 패강 지역을 다스리는 통치기구인 패강진전의 장관직.
제도/관직
설치 시기
782년(선덕왕 3)
소속
패강진전
내용 요약

두상대감(頭上大監)은 통일신라시대, 패강 지역을 다스리는 통치기구인 패강진전의 장관직이다. 782년(선덕왕 3)에 급찬(級飡) 이상 사중아찬(四重阿飡)까지의 관등을 가진 자가 임명되었으며, 정원은 1명이었다. 같은 해, 본영(本營)인 대곡진에 주변의 7군과 7현을 군정적으로 통치하는 기구인 패강진전을 두면서, 그 장관으로 설치된 것이다. 두상대감은 신라에서 6두품(六頭品)이 차지할 수 있는 최고의 외관직(外官職) 중 하나였다.

목차
정의
통일신라시대, 패강 지역을 다스리는 통치기구인 패강진전의 장관직.
내용

두상대감은 『삼국사기』 권40, 직관지(하) 패강진전(浿江鎭典)조에 기록된 정원 1명의 장관직으로, 782년(선덕왕 3)에 설치되었다. 신라는 경덕왕 대에 새로 확보한 영토인 예성강 이북, 대동강 이남 지역의 패강 지역에 군현을 편성하면서 오늘날의 황해도 평산(平山) 지역에 대곡진을 설치하고 그곳을 다스리는 관직으로 두상(頭上)을 설치하였다.

그 후 782년(선덕왕 3)에는 이를 정비 · 승격시켜 본영(本營)인 대곡진과 그 주변의 7개 군과 7개 현 전체를 통치하는 기구로서 패강진전을 설치하는 한편 본영에 주재하는 장관직으로 두상대감을 설치하였다. 패강진전은 패강 지역을 군정(軍政) 방식으로 다스렸던 독특한 지배기구였으며, 그 장관인 두상대감에는 주2 이상 주1까지의 관등을 가진 자가 임명되었다.

신라 말에 이르러서는 당나라의 제도를 본떠서 주3라고 이름을 고쳤다. 김유신의 후손인 병법의 권위자 김암(金巖)도 이를 역임한 바 있는데, 취임 자격에서 보면 두상대감은 육두품(六頭品) 출신이 차지할 수 있는 신라 최고의 외관직(外官職) 가운데 하나였던 것 같다. 그 아래에는 본영에서 업무를 보좌하는 두상제감이 있었고, 관할 군에는 대감과 제감, 현에는 소감 또는 보감을 두어 군사와 행정 업무를 체계적으로 처리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이문기, 『신라병제사연구』(일조각, 1997)
이기동, 『신라골품제사회와 화랑도』(일조각, 1984)

논문

한준수, 「신라의 패강 지역 진출과 서북 도서의 지배」(한국학논총』 52,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전덕재, 「신라 하대 패강진의 설치와 그 성격」(『대구사학』 113, 대구사학회, 2013)
강봉룡, 「신라하대 패강진의 설치와 운영-주군현체제의 확대와 관련하여」(『한국고대사연구』 11, 한국고대사학회, 1997)
李成市, 「新羅兵制における浿江鎭典」(『早稻田大學大學院文學硏究科紀要』 7, 早稻田大學大學院文學硏究科, 1981)
주석
주1

신라 때에 둔, 십칠 관등의 아찬 가운데 첫째 등급.    우리말샘

주2

신라 때에 둔, 십칠 관등 가운데 아홉째 등급. 육두품 이상이 오를 수 있었다.    우리말샘

주3

중국에서, 변경의 여러 번족(蕃族)을 다스리거나 정벌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우리말샘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