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옹한록 ()

구비문학
문헌
조선 후기, 문신 박양한이 소론 계열 인물들의 일화나 경험담 등을 기록한 필기집.
이칭
이칭
매옹한설(梅翁寒說), 강라대필(强懶代筆)
문헌/고서
편찬 시기
1730년대
저자
박양한
판본
한문 필사본
표제
매옹한록
소장처
고려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 요약

『매옹한록』은 조선 후기 문신 박양한이 소론 계열 인물들의 일화나 경험담 등을 기록한 필기집이다. 소론 계열의 당파적 가문 의식이 강하게 드러나며 당쟁, 임진왜란, 인조반정, 병자호란, 북벌 계획, 예론(禮論) 등에 관한 내용은 사료적 가치가 있다. 또한 사대부 일화와 함께 야담적 성향을 띠는 이야기가 다수 수록되어 조선 후기 야담집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키워드
정의
조선 후기, 문신 박양한이 소론 계열 인물들의 일화나 경험담 등을 기록한 필기집.
저자

박양한(朴亮漢, 1677~1746)은 자는 자룡(子龍), 호는 매계(梅溪)이다. 박양한은 이조 판서를 지낸 박장원(朴長遠, 1612-1671)의 손자이며 우의정 윤지완(尹趾完)의 외손자로, 소론 명문가 출신이었으나 경력은 화려하지 못했다. 선릉참봉(宣陵參奉), 호조정랑(戶曹正郞)등을 역임하였으나 이인좌(李麟佐)의 난 이후 더 이상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서지사항 및 이본 현황

현재 국내본에 장서각본(2권 2책), 고려대본(1권 1책), 규장각본(2권 2책), 주2 소재본(2권 2책), 조선대본(2권 1책), 『패림(稗林)』 소재본(1권 1책), 『한고관외사(寒皐觀外史)』 소재본(1권 1책) 7종이 있고, 국외본에 버클리대본(2권 2책), 천리대본(2권 1책), 동양문고본(2권 2책)으로 총 10종의 이본이 전해지고 있다. 또한 일본의 『광사(廣史)』, 『총사(叢史)』 소재본이 알려졌으나 모두 사라져 없어졌다.

표제는 대부분 『매옹한록(梅翁閑錄)』으로 되었지만, 고려대본은 『매옹한설(梅翁寒說)』로, 버클리대본은 『강라대필(强懶代筆)』로 되어 있다. 이 중 장서각본은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편 『한국문헌설화전집』 제8책에 실려 있다.

권수 및 이야기 총수 등에서 이본 사이에 큰 차이가 있는데, 고려대본이 44화로 이본 중 제일 적은 화소(話素)를 지녔으며 천리대본은 262화로 가장 많은 이야기를 수록하고 있다. 선본(善本) 계열에 해당하는 천리대본과 버클리대본이 2권 2책으로 되어 있으나 『고령박씨대동보』의 기록에 의하면 『매옹한록』이 5권으로 간행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이 역시 원본과 거리가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매옹한록』은 서발문이 없어 편찬 과정을 알 수 없으나 책에 보이는 저자의 가족과 주변 인물들에 대한 표현이나 내용을 통해 1730년대 초중반 시기, 즉 1728년의 이인좌의 난으로 벼슬을 잃은 후 지방으로 물러났을 때 지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천리대본에는 외할아버지 윤지완과 관련된 이야기가 40여 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윤지완도 그 이야기가 그의 외숙인 정태화(鄭太和)에게서 들은 것임을 전제한 경우가 있다. 또 저자는 정태화의 아들 정재륜(鄭在崙)이 지은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에서 본 것임을 밝힌 곳도 있는 점으로 보아, 이 책은 외가 쪽에서 보고 들은 것에 많은 근거를 두고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은 인조, 효종, 현종, 숙종대의 이야기들이 중심이 되고 있다. 수록 내용은 장르상으로 일화(逸話)와 야사(野史), 시화(詩話)가 다수 포함되었고, 인물별로는 윤지완, 정태화, 정재숭, 윤훤, 박장원 등 저자의 친가와 외가의 사대부 남성 일화가 상당수를 차지하며, 일부 평민 일화나 점복(占卜)이나 몽조(夢兆), 풍수(風水)에 관한 기이한 이야기가 포함되었다.

전체의 약 50편이 가문과 관련되거나 교유했던 인물들의 이야기로, 특히 정묘호란 당시 외고조인 윤훤의 일화와 외할아버지 윤지완의 일본 통신사 관련 일화가 많고, ‘정응태(丁應泰)의 무고(誣告) 주1, ‘ 종계변무(宗系辨誣) 외교’ 등 선조(宣祖) 대의 외교에 대한 사건이나 ‘ 인조반정(仁祖反正)’, ‘ 이괄(李适)의 난’, ‘정묘호란', ' 병자호란’ 등 인조(仁祖) 대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다루었다.

평민 일화는 소수이기는 하지만 효나 우애 등 도덕적, 윤리적 가치를 담고 있는 이야기나 기이한 이야기도 수록하였다.

의의 및 평가

『매옹한록』의 기사 중 선조조 이래 당쟁, 임진왜란, 인조반정, 병자호란, 북벌 계획, 예론(禮論) 등에 관한 내용은 사료적 가치가 인정된다. 또한 조선 후기 필기집 중에서 몇 안 되는 소론 계열 인물의 저작으로, 기존 필기집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윤지완, 정태화, 정제두, 남구만 등 소론 계열 인물 일화가 주를 이루어 소론 계열의 당파적 가문 의식을 엿볼 수 있다.

문학사적 측면에서는 주로 사대부 일화 중심의 필기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평민 의식을 수용하여 야담적 성향을 띠고 있다. 또한 후대 야담집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는데, 『기문총화』 제 4권에는 『매옹한록』의 이야기 중 49편이 집중적으로 실렸고, 『청구야담』에는 19편, 『동야휘집』에는 6편의 유사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참고문헌

원전

정환국 교열, 『정본 한국야담전집』(보고사, 2021)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헌설화전집』 8(태학사, 1981)
박천규, 「매옹한록」(『국학자료』 5, 1972)

단행본

박양한 저, 김동욱 역, 『국역 매옹한록』 상하(보고사, 2016)

논문

김민혁, 「박양한의 『매옹한록』 연구」(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문미애, 「 『매옹한록』의 이본 연구」(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정순희, 「『梅翁閑錄』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한국언어문학』 76, 한국언어문학회, 2011)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정응태가 조선이 왜적과 제휴하여 중국을 침범하려고 한다고 중국 조정에 무고한 사건이다. 이 사건이 발생하자 조선 조정에서는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을 변무사로 정하고, 이정구(李廷龜, 1564~1635)를 변무부사로 선발하였다. 이때 이정구가 글을 지어 조선의 억울함을 중국 황제에게 전하였는데, 『월사집(月沙集)』 권21에 실려있다. 글의 제목은 「정주사응태참론본국변무주(丁主事應泰參論本國辨誣奏)」로, 조선과 중국의 외교 문제를 원만히 해결하는 역할을 하였다.

주2

조선 중기 선조 때부터 영조 때에 이르기까지 역사학자들의 수필, 만록(漫錄), 야사 따위를 모아 엮은 책. 30권 30책.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