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고 ()

목차
관련 정보
악학궤범 5권(10) / 무고초입배열도
악학궤범 5권(10) / 무고초입배열도
무용
작품
고려 때부터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때부터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내용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따르면 충렬왕 때 시중 이혼(李混)이 영해(寧海)에 유배되었을 때 바닷가에서 물에 뜬 뗏목을 얻어 큰 을 만들었더니 그 소리가 크고 웅장해 북을 두드리며 춤춘 데서 기원했다고 한다.

의 형식은 북을 가운데 놓고 원무(元舞: 북채를 들고 북을 치는 사람)와 협무(挾舞: 원무 주위를 돌며 춤추는 사람)로 나누어져, 원무가 북채를 두 손에 들고 시종 북을 에워싸며 마치 꽃봉오리 위에 하늘거리는 나비인 양 어르고 두드리며 도는 동안 협무는 삼지화(三枝花)를 두 손에 들고 그 둘레에서 논다. 그 춤이 바뀌는 모습이 마치 두 마리의 나비가 꽃을 어르면서 펄럭이는 것 같고, 두 마리의 용이 서로 여의주를 빼앗으려고 다투는 것 같은데, 악부(樂部)에서 가장 뛰어나며, 다른 춤에서 볼 수 없는 화려한 면을 지니고 있다.

무고에 대해서 기록한 문헌으로는 『고려사』 · 『악학궤범(樂學軌範)』 · 『홀기(笏記)』 및 1920년대의 『무고무보(舞鼓舞譜)』 등이 있다. 이 중 『고려사』 · 『악학궤범』, 1920년대의 무보 등 세 기록을 비교, 분석해보면 세 기록이 모두 ① 입장에서 읍(揖)하기까지의 도입부, ② 북을 울리지 않고 춤추다가 북을 울리면서 춤추고 절정을 이루는 주요부, ③ 읍하고 퇴장하는 종결부로 이루어진다.

1829년(순조 29)에 편찬된 『진찬의궤(進饌儀軌)』 권3에 따르면, 무고의 의상은 무원(舞員)이 화관을 쓰고 청 · 적 · 흑 · 초록 단삼(單衫), 속은 남색상(藍色裳), 겉옷은 홍초상(紅綃裳)을 입고 홍단금루수대(紅緞金鏤繡帶)를 띠며, 오채한삼(五彩汗衫)을 매고 초록혜(草綠鞋)를 신는다. 또, 1848년(헌종 14)의 『진찬의궤』 권3 정재여령조(呈才女伶條)에는, 위 여령의 복식과 같고 황초단삼(黃綃單衫)에 각각 청 · 홍 · 흑 · 백의 쾌자를 입는 것이 다르다. 1877년(고종 14)의 『진작의궤』에서는 원무가 자적갑사괘자(紫的甲紗掛子)에 남전대(藍戰帶)를 띠는 점이 순조, 헌종 때의 복식과 다르다고 되어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악학궤범(樂學軌範)』
『진찬의궤(進饌儀軌)』
『진작의궤(進爵儀軌)』
『궁중정재무도홀기(宮中呈才舞圖笏記)』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