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물품
두드려 소리 내는 타악기의 총칭이자 둥근 나무통에 가죽을 씌워 가죽 막을 울려 소리 내는 타악기.
이칭
이칭
고(鼓)
물품
재질
가죽, 나무, 흙, 금속, 종이, 대나무
용도
신호, 연주, 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북은 두드려 소리 내는 타악기의 총칭이자 둥근 나무통에 가죽을 씌워 가죽 막을 울려 소리 내는 타악기를 말한다. 울림통의 재료와 형태, 크기에 따라 세분된다. 대체로 가죽 막의 울림에서 소리를 얻기 때문에 분류상으로는 혁부(革部)의 막명악기(膜鳴樂器)에 속한다. 이밖에 나무와 흙, 금속 등 몸체를 직접 두드려 소리 내는 북도 있다. 울림통의 형태에 따라 술통 모양의 ‘북류’, 모래시계 모양의 ‘장구류’, 작은 원형의 ‘소고류’, 작은 북통을 막대에 끼워 흔들어 소리 내는 ‘도’ 종류 등이 있다.

키워드
정의
두드려 소리 내는 타악기의 총칭이자 둥근 나무통에 가죽을 씌워 가죽 막을 울려 소리 내는 타악기.
북의 명칭과 종류

궁중에서 전승(傳承)된 북 종류들은 문헌에 기록된 고유의 명칭과 규격, 제도 등을 유지하여 왔다. 이에 비해 민간 전승의 북들은 재료, 형태, 크기, 용도가 ‘북’ 또는 북의 한자어인 ‘고(鼓)’와 결합하여 수많은 이칭으로 불린다. 2022년 기준, 국악 관련 사전류에 등재된 북 명칭은 70개 내외로 조사되었으며 민속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미반영 명칭까지 포함하면 100개 정도로 추정된다. 좁은 의미의 북은 일반적으로 술통 모양의 둥근 나무통 양면에 가죽을 씌워 완성된 형태로 인식되고 있다. 북은 크기에 따라 대북(대고, 큰북), 중북(중고), 소북(소고)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북은 북통에 가죽을 씌우는 방식에 따라, 가죽을 끈으로 연결한 ‘줄북’과 줄북에 쐐기를 박아 조임 기능을 강화한 ‘쐐기북’, 북통에 못을 박아 가죽을 고정한 ‘못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북이 완성된 후 채색이나 문양을 더했느냐의 여부에 따라 채색과 문양이 없는 것은 ‘백북’, 채색과 문양을 넣은 것은 ‘단청북’이라 한다. 궁중에서 사용된 북은 고유의 명칭과 형태로 전승되었다.

『악학궤범(樂學軌範)』 및 조선시대 여러 의궤류 및 주9 자료를 통해 확인된 궁중 의례용 북은 건고(建鼓) · 삭고(朔鼓) · 응고(應鼓) · 뇌고(雷鼓) · 영고(靈鼓) · 노고(路鼓) · 뇌도(雷鼗) · 영도(靈鼗) · · 절고(節鼓) · 진고(晉鼓) · 교방고(敎坊鼓)( 좌고(座鼓)), 무용에 사용되는 무고(舞鼓), 군례(軍禮)에 사용된 대고(大鼓) · 소고(小鼓) · 행고(行鼓)(용고(龍鼓)) 등이 있다. 이밖에 민간에서는 북의 용도와 북〔鼓〕을 결합한 수많은 북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주10 · 무속북 · 민속북과 같이 장르와 연계되거나 주11 · 걸매기 · 걸매기북 · 주12 · 두레북 · 매구북 · 모방고 · 못방고 · 못방구 · 방고 · 주14 · 벅구 · 소리북 · 승무북 · 연물북 · 풍물북 등 북을 치는 계기와 관련한 명칭들이 지역, 집단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어 전한다.

연원과 전승

물체를 두드려 의미 있는 소리를 만들어 내는 소리 도구인 북의 주15은 인류 문명의 주16과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북을 만드는 재료와 형태, 용도, 연주법은 민족과 문화권, 지역에 따라 셀 수 없이 다양하게 분화하였다. 우리나라도 고대 주17의 성립 시기부터 북이 악기로서의 뚜렷한 정체성과 상징을 지니며 전승되어 왔다. 고구려 고분벽화(古墳壁畵)의 여러 주18 장면에는 주19주20, 행렬용 북이 묘사되어 있고, 고구려 유적지에서 발굴된 ‘상고(相鼓)’라고 새겨진 주21 유물, 북통으로 해석되는 구멍무늬토기〔列孔土器〕,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에서 오악사(五樂士) 중 1명이 연주하는 북의 모습 등은 북의 제작과 향유, 전승 양상에 대하여 보다 열린 시각을 갖게 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통일신라의 주22에 삼현 주23주24, 대고가 편성되어 고려시대로 전승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고려사(高麗史)』에는 중국에서 수용된 궁중 의례 및 연향용 음악 편성에 여러 가지 북 종류들이 사용된 양상이 상세히 소개되어 있다. 교방고와 진고, 입고(立鼓), 응고, 주25, 주26 등의 북이 궁중 의례와 연향악에 편성되었고, 국가의 공식 행렬에서 사용된 북 이름이 강고(掆鼓), 행고 등으로 불리었다.

조선시대에 궁중에서 사용된 북 종류는 『세종실록(世宗實錄)』 「오례의」를 비롯한 각종 의례서, 음악 전문 서적인 『악학궤범(樂學軌範)』, 조선 후기 왕실 의례를 기록한 의궤류의 문헌에 북의 규격과 형태, 명칭, 유래, 재료를 포함한 제작법 등이 상세히 기록되었다. 이를 통해 북 제작 기술이 큰 변화 없이 전승될 수 있었으며, 이 전통은 오늘에 이르고 있다.

민간의 축제와 놀이에 사용된 북에 대해서는 근거할 만한 문헌 기록이 비교하기 어려울 만큼 적기는 하나, 판소리 공연 장면이 묘사된 그림에서 고수(鼓手)가 치는 북, 사찰 의례와 굿 장면에 등장하는 북, 20세기 초반의 풍속화(風俗畵)에서 궁중 의례에 사용된 것과 조금 다른 북의 유형들을 볼 수 있다.

형태와 제작 방식

북의 구조는 주27주28으로 이루어진다. 기본적인 구조 위에 가죽을 씌우고, 조이는 방법에 따라 주29, 쐐기, 주30, 고리 등이 부가된다. 궁중 및 불교 의례에서 사용된 북은 주로 못을 박아 완성한 못북이며, 민간의 무속 의례 및 농악(農樂), 주31에는 못북과 줄북, 쐐기북이 혼용되었다. 북을 치는 채는 ‘북채’라 하며 북에 따라 규격과 형태가 다르다.

북의 제작은 울림통 만들기, 가죽 다루기, 북 메우기의 순서로 진행된다. 울림통은 소나무, 오동나무 등의 목재를 용도에 맞게 선택하여 건조한 후 북통 형태로 깎아 내거나 일정한 크기와 곡선으로 재단한 ‘쪽〔片〕’을 이용해 통을 짜서 만든다. 접착제를 이용해 쪽을 붙인 후에는 전체적인 형태와 균형이 유지되도록 깎고 다듬어 마무리한다. 이후의 과정은 북의 용도에 따라 몇 가지 과정이 더해진다. 북통 안팎에 한지나 면포, 가죽 등의 보완재를 발라 견고성을 높여주거나, 채색과 문양, 고리 달기 등이 추가된다.

북 만들기의 핵심 과정인 가죽 다루기는 가죽을 구해 북면으로 완성되기까지 매우 까다롭고 어려운 주32 과정을 거친다. 적당한 상태로 손질된 가죽을 북 크기에 맞게 재단하면 가죽을 북에 씌워 조이는 북 메우기로 이어지며, 용도에 따라 소리를 조율하면 완성된다.

북채는 북의 용도에 따라 목재의 종류와 크기, 굵기를 선택하여 깎아 만든다. 북채의 모양은 일자형 막대로 된 것도 있고, 북채 끝을 둥근 머리 형태로 깎은 것도 있고, 헝겊 등으로 감싸 봉처럼 씌운 것도 있지만, 이들을 다른 명칭으로 구별하는 예는 드물다.

북의 규격은 용도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다. 궁중에서 사용되어 온 북 종류들은 『악학궤범』의 주33을 기준으로 제작되며, 민간에서 사용되는 북은 장인의 오랜 학습과 제작 경험과 기술 전승 및 지역의 관행,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규격의 편차가 있다. 북을 만드는 기술은 국가무형유산(國家無形遺産) 악기장(樂器匠) 종목으로 전승되고 있으며, 대전광역시에서는 무형유산으로 ‘북 메우기’ 종목을 지정하였다.

용도

북은 국가와 관청(官廳), 군대, 교육 기관에서 일련의 알림 기능을 담당하면서 사회의 신호 체계와 상징을 드러내는 소리 도구로도 쓰였다. 이밖에 궁중의 제례, 연례, 군례에 따른 주5에서 고유의 음악 기능을 담당해 온 기악 합주(器樂合奏)의 필수 악기로 편성되어 음악의 시작과 끝, 주34의 단위를 지시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민간에서는 북이 일과 놀이의 주된 동반자였다. 북 하나만으로도 농사 현장의 노래와 춤을 반주하기도 하고, 농악, 탈춤에 편성되어 독자적인 가락과 춤 동작을 결합한 주35, 북춤을 탄생시켰다. 또한 사찰 의례 및 무속 의례에 편성된 북은 종교적인 의미를 반영한 연주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연주법

북을 칠 때는 북채, 또는 손을 이용해 북의 복판과 모서리, 북통을 두드린다. 양면으로 된 북면을 북채 1개로 한쪽 면, 혹은 양면을 치는 방법, 북채 2개로 한 면, 혹은 양면을 치는 방법, 한쪽은 북채로, 한쪽은 손바닥을 이용해 치는 방법이 있으며, 민간에서는 이런 주36에 따라 외북, 양면북 등의 명칭을 부여하기도 한다.

북을 칠 때는 틀을 이용해 주37, 고대(鼓臺), 구덕 등) 끈을 이용해 높은 곳에 매달아 놓거나, 다른 이로 하여금 들고 서 있게 하는 등의 방법이 동원되며, 민간의 놀이와 연희에서는 끈을 이용해 몸의 어깨, 허리에 지탱하거나 끈을 손과 팔목에 휘감고 친다. 한편, 공연 연행에서 고수의 비중이 높은 판소리에서는 고수의 북 치는 법체계가 ‘고법’으로 정리되기도 했다.

참고문헌

원전

이혜구,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단행본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송혜진,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2호: 악기장 북메우기』 (대전광역시, 2021)
이종석, 이보형, 「고장」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16 129-143』, 문화재관리국, 1980)
정병호, 『농악』 (열화당, 1986)

논문

송혜진, 「사전류 ‘북’ 관련 항목 현황 진단 및 소견」 (『한국음악연구』 70, 한국국악학회, 2021)
송혜진, 「민간전승 북의 유형과 용도, 특징 고찰 -도상ㆍ사진ㆍ유물 자료를 근거로」 (『한국음악연구』 71, 한국국악학회, 2022)
주석
주5

음악과 춤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많은 기악 연주가가 함께 하는 연주나 대규모의 기악 연주 형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 관현악 합주, 현악 합주, 취주악 합주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7

국가의 사무를 집행하는 국가 기관. 또는 그런 곳. 사무의 성격에 따라 행정 관청ㆍ사법 관청, 관할 구역에 따라 중앙 관청ㆍ지방 관청 따위로 나뉜다. 우리말샘

주8

문화, 풍속, 제도 따위가 이어받아져 계승되다. 또는 그것이 물려받아져 잇게 되다. 우리말샘

주9

지도나 도면의 위. 우리말샘

주10

무당이 굿할 때에 쓰는 북. 우리말샘

주11

걸립에 쓰는 북. 우리말샘

주12

판소리 반주에 쓰는 북. 남부 지방에서는 흰 북, 중부 지방에서는 단청 북을 주로 쓴다. 우리말샘

주13

전라도에서, 북을 치며 모내기를 하는 일. 우리말샘

주14

북처럼 생긴 농악기의 하나. 얇은 개가죽 따위로 메우며 모양은 여러 가지이다. 자루가 없고 고리만 있어 줄을 꿰어 메고서 치는데 소리는 소고와 비슷하다. 우리말샘

주15

사물의 근원. 우리말샘

주16

첫 출발을 하는 지점. 우리말샘

주17

역사상 처음으로 출현한 중앙 집권적인 통일 국가.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에 이르러 형성되었다. 우리말샘

주18

음악을 연주함. 또는 그 음악. 우리말샘

주19

행사를 치르는 일정한 법식. 또는 정하여진 방식에 따라 치르는 행사. 우리말샘

주20

잔치를 베풀어 손님을 접대함. 우리말샘

주21

흙으로 만듦. 또는 그렇게 만든 물건. 우리말샘

주22

신라 진흥왕 이후에 궁중에서 쓰던 음악. 우리말샘

주23

통일 신라 시대 이후의 향악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거문고ㆍ가야금ㆍ비파와 대금(大笒)ㆍ중금(中笒)ㆍ소금(小笒) 따위이다. 우리말샘

주24

여섯 개의 얇고 긴 판목을 모아 한쪽 끝을 끈으로 꿰어, 폈다 접었다 하며 소리를 내는 국악기. 풍류와 춤을 시작할 때나 마칠 때 또는 곡조의 빠르고 더딤을 이끄는 데 쓰인다. 우리말샘

주25

우리나라 북의 하나. 좌고와 비슷하나 틀 위에 달 모양을 새긴 것으로, 노래나 관현악 합주의 시작을 알릴 때에 쓴다. 우리말샘

주26

고려 시대에, 위장악(衛仗樂)에 쓰던 북. 우리말샘

주27

북의 몸이 되는 둥근 나무통. 우리말샘

주28

장구나 북에서, 손으로 치는 왼쪽 가죽면. 우리말샘

주29

장구의 좌우 마구리를 잇는 줄. 무명실을 꼬아 붉게 물들여서 만든다. 우리말샘

주30

대가리를 둥글넓적하게 만들어 장식으로도 쓰는 못. 우리말샘

주31

말과 동작으로 여러 사람 앞에서 재주를 부림. 우리말샘

주32

생가죽, 실 따위를 매만져서 부드럽게 만드는 일. 우리말샘

주33

그림을 곁들여 설명함. 또는 그 책. 우리말샘

주34

일정한 박자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진행되는 것. 우리말샘

주35

송파 산대놀이 따위에서, 북을 메고 나와 벌이는 놀이. 우리말샘

주36

악기를 연주하는 방법. 우리말샘

주37

북을 칠 때, 북을 올려놓는 틀.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