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고원 ()

자연지리
지명
함경북도 북서부에 있는 고원.
정의
함경북도 북서부에 있는 고원.
개설

함경산맥에서 북쪽의 두만강에 이르고 서쪽의 마천령산맥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지대로, 무산고원의 서반부는 백두용암대지(白頭熔岩臺地)의 일부를 이루며, 두만강의 지류인 서두수(西頭水)가 깊은 장년곡(壯年谷)을 형성하고 있다. 동반부는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으로 이루어진 고원지대로 제3기 중신세(中新世)에 융기운동이, 제4기 홍적세(洪積世)에 현무암의 분출이 있었으며, 그 이후 여러 하천에 의하여 깎이어 개석고원(開析高原)을 이루고 있다.

고원의 면적은 2,100㎢이고 평균해발은 1,050m이다. 두만강과 그 지류인 서두수, 함경산줄기와 그 지맥에 둘러싸여 있으며, 행정구역 상으로는 함경북도 무산군, 연사군과 양강도 백암군의 일부지역이 포함된다.

자연환경

고원에는 북쪽 기슭으로 흐르는 두만강에 흘러드는 서두수, 연면수, 성천수와 그 지류들인 대리천, 설령천, 구운수, 초소천, 박하천, 오로천을 비롯한 많은 하천들이 있다. 두만강의 지류들에 의하여 몹시 깎여 본래의 고원면은 찾아볼 수 없는 중산성산지로 변했다. 다만 대련골산, 차유봉, 민봉산, 문봉산, 명장산, 검덕산, 곤봉산 등 일부 산들과 산줄기의 능선들에 당시 평탄면의 유물이 남아 있어 이 면들과 정고성을 띤 산마루들을 연결한 가상적인 고원면을 복원할 수 있다. 평탄면들의 해발은 1,300∼1,500m, 2,100∼2,200m, 2,300∼2,500m 이다.

유역에서 강수량이 많지 않으나 연중 비가 고르게 내리고 수원 함양 조건이 좋아 하천들의 수량이 비교적 많고 수면 높이의 변화가 심하지 않다.

고원은 수많은 강하천들에 의해 끊기고 깊이 패여 민봉산줄기, 백무산줄기와 수많은 지맥들로 갈라졌으며, 골짜기들은 깊고 경사면의 물매는 30∼40°로 급하다. 강골짜기에는 감입사행곡들이 있으며 두만강과 서두수ㆍ연면수 등의 하안에는 지반의 간헐적 융기에 의하여 하안단구가 뚜렷하게 발달되어 있다.

두만강과 서두수, 연면수 하류골짜기들에는 골짜기를 메웠던 현무암들이 깎여 생긴 현무암벼랑들이 있다. 이밖에 연사군 노평리의 노평덕ㆍ송평덕, 무산군 홍암리의 광덕, 임강리의 두계평ㆍ중평ㆍ연덕 등 현무암 피복체들이 있다.

고원은 바다와의 사이에 높은 함경산줄기가 뻗어 있어 그 영향을 적게 받는 반면에 내륙 쪽이 낮고 열려 있어 내륙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대륙성기후의 특성이 뚜렷이 나타난다. 고원 안에서 골짜기의 낮은 지대와 내륙산지 사이에 기후의 차이가 심하다. 특히 겨울철에 다른 지역보다 기온이 낮다. 연사에서의 1월평균기온은 같은 위도상에 있는 동해안의 경성보다 7.3℃, 북쪽에 있는 원 선봉보다 6.7℃나 낮다.

고원은 대부분 지역에서 산림지대를 이루고 있는데 아한대성식물인 잎갈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전나무, 자작나무, 사스래나무, 사시나무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형성 및 변천

무산고원은 백두고원과 함께 제3기 마이오세까지 하부원생대 마천령계의 퇴적변성암과 화강암류가 침식작용을 받아 준평원화된 후 제3기 말∼제4기 초의 경동지괴운동시기에 약 1,000m 솟아올라 고원이 되었다.

이때 육대와 두만강습곡대의 경계인 서두수 골짜기 서쪽지역에서는 백두화산대에서 분출한 용암이 덮여 새로운 고원면이 이루어졌으나 그 서쪽의 무산고원에서는 일부 강골자기에만 현무암이 덮이고 전반적 지역에서는 계속 침식작용만을 받아 개석고원으로 되었다.

현황

무산고원의 두만강과 그 지류인 서두수·연면수(延面水) 등 여러 하천 유역의 일대에는 낙엽송을 주로 하는 침엽수림이 밀림을 이루고 있으며, 이를 운반하기 위하여 백무선(白茂線)이 부설되었다. 성천수(城川水)유역에 있는 무산철산(茂山鐵山)은 매장량이 17억 톤이 넘는 큰 자철광으로, 무산과 청진의 제철소에서 제철을 하고 있다.

기온이 낮은 지역이므로 벼농사는 거의 하지 않으나, 고원의 골짜기들과 하안단구들에서는 벼, 옥수수, 덕들에서는 밀, 보리, 보라콩, 감자, 사탕무 등이 재배된다.

광복 후 북한정권에서 국경을 따라 부설한 철도가 놓여 있다.

참고문헌

『함경배도지(咸鏡北道誌)』(함경북도지 편찬위원회, 1976)
『신한국지리(新韓國地理)』(강석오, 새글사, 1971)
북한지역정보넷(http://www.cybernk.net/)
집필자
이영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