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든 서울 (든 서울)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문헌
정음사에서 오장환의 시 「8·15의 노래」 · 「병든 서울」 · 「지도자」등을 수록하여 1946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정음사에서 오장환의 시 「8·15의 노래」 · 「병든 서울」 · 「지도자」등을 수록하여 1946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B6판. 58면. 1946년 7월 정음사(正音社)에서 간행되었다. 오장환이 서울대학교 부속병원에 입원했을 때에 쓴 서문인 「머리에」와 함께 19편의 시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내용

시집의 간행순으로 본다면, 『나 사는 곳』(1947)에 앞서 간행된 세번째 시집이다. 그러나 수록시편들이 모두 8·15광복 이후에 쓰여진 작품들로 편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의 제4시집이 되는 셈이다.

일기(日記)처럼 제작일자를 명시하고 수록시편을 제작순에 따라 배열하고 있는데, 「8·15의 노래」·「연합군입성(聯合軍入城) 환영의 노래」·「이름도 모르는 누이에게」·「원씨(媛氏)에게」·「병(病)든 서울」·「어둔 밤의 노래」·「지도자(指導者)」·「입원실(入院室)에서」·「깽」·「가거라 벗이어!」·「연안(延安)에서 오는 동무 심(沈)에게」·「이 세월(歲月)도 헛되히」·「공청(共靑)으로 가는 길」·「너는 보았느냐」·「강도(强盜)에게 주는 시(詩)」·「내 나라 오 사랑하는 내 나라」·「나의 길」·「어머니 서울에 오시다」 등과 같다.

의의와 평가

이들 수록시편 가운데서 몇 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시집에 실리기 전에 당시의 신문이나 잡지에 발표되고 있다. 여기에 실린 시작들은 8·15 직후 격변하는 혼란된 상황의식을 토로하고 있는가 하면, 그의 좌경적 이념과 혁명사상을 바탕으로 투쟁의 구호를 외치듯이 쓴 작품도 있다.

한마디로 오장환의 후기 시작의 주제는 민족 공동체 의식과 좌경적 이념과 사회주의 사상의 형상화로 요약할 수 있다.

참고문헌

『오장환연구』(김학동, 시문학사, 1990)
『오장환전집(吳章煥全集)』1·2(최두석 편, 창작과 비평, 1989)
『예술과 생활』(김동석, 박문출판사, 194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