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방목 ()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시대, 역과(譯科) 시험 합격자 명단을 수록한 명부.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후기
권책수
1책
판본
필사본
표제
상원방목
소장처
국사편찬위원회
내용 요약

『상원방목』은 조선시대에 시행된 역과 시험 합격자 명단을 수록한 명부이다. 현전하는 『상원방목』은 1책으로 된 필사본으로, 1568년(선조 1)에서 1740년(영조 16)부터 173년간 설행된 식년시와 증광시에 합격한 1,171명의 정보가 담겨 있다. 1,171명의 전공을 보면, 한학 792명, 왜학 146명, 몽학 107명, 청학 86명, 여진학 40명 순이다. 이 방목에 실린 합격자 정보는 전공, 합격자의 신상과 부친과 형제에 대한 것도 있어서 역관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정의
조선시대, 역과(譯科) 시험 합격자 명단을 수록한 명부.
서지 사항

전체 책 수는 알 수 없으나 현재 국사편찬위원회에 제1책이 있다. 4주쌍변(四周雙邊). 필사본. 이 책의 표지에는 ‘상원방목’으로, 내지에는 ‘사역원방목’으로 되어 있다.

구성 및 내용

상원(象院)은 사역원(司譯院)의 이칭으로 설원(舌院) · 역원(譯院)이라고도 하였다. 조선 왕조 초기에 예조로 하여금 사역원에 역관을 두고, 한학(漢學) · 몽학(蒙學) · 여진학(女眞學) · 왜학(倭學)을 교육시켜 번역 및 통역에 종사하도록 하였다.

서두에 “옛날의 식년시는 자 · 오 · 묘 · 유(子午卯酉)에 시행하고 증광시는 다만 국왕의 즉위년에만 시행했는데, 그 뒤 국가의 경사가 있을 때마다 시행하였다.”라고 하여, 식년시와 증광시의 방목이 실려 있음을 밝혔다. 과거는 식년마다 정기적으로 치르는 식년시와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마다 치르는 각종 비정기시가 있다. 생원진사시잡과는 정기시인 식년시와 비정기시 중에서 증광시만을 주8하였기 때문에 이 책에도 식년시와 증광시 방목이 실린 것이다.

제1책은 1568년(선조 1) 선조의 즉위를 칭하(稱賀)하기 위한 무진증광(戊辰增廣)으로부터 시작하여, 1740년(영조 16) 건륭경신증광(乾隆庚申增廣)으로 끝나고 있다. 기재 양식은 이름 · 자 · 생년 · 본관 · 전공(專工) · 출신 구분 · 관직 · 부 · 형제 등의 순서로 되어 있다. 여기 실린 명단은 임춘무(林春茂)에서 이인수(李寅秀)까지 총 1,171명이다. 전공별로는 한학 792명, 왜학 146명, 몽학 107명, 청학 86명, 여진학 40명의 순이다. 또 식년시는 1·2·3등으로 구분해 주4하였다. 즉 1등이 1∼3명, 2등이 3∼5명, 3등이 7∼11명으로, 평균 한 식년시에 17∼19명 정도가 표준이었다. 증광시는 국왕의 즉위, 왕세자 책봉, 묘호추존(廟號追尊), 가례(嘉禮) · 입학(入學) · 중전책례(中殿冊禮) · 주9 등의 경축해야 할 일이 있을 때 설행되는데, 선발 인원이 많을 경우는 35명까지 뽑을 때도 있었다.

역과 합격자들은 원신별체아(元新別遞兒) · 피초(被抄) · 교회(敎誨)· 총민(聰敏) · 주6 · 주7 · 주11 · 상통사(上通事) 등의 전문직에 임용되었고, 사역원 관원인 종9품의 참봉에서 당하 정3품인 정(正)에까지 승진할 수도 있었다. 그중에서 정9품인 훈도(訓導)와 종6품인 교수(敎授)실직(實職)이었고, 나머지 관직은 모두 체아직으로 운용되었다.

의의 및 평가

역과 합격자의 명부인 『상원방목』은 중인인 역관을 연구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자료이다. 법전이나 연대기 자료에서는 잡과 규정에 대한 언급은 있으나, 실제의 선발 인원, 응시자들의 신분, 이들의 관직 진출 양상, 혼인 관계, 역관 가계의 주12 양상 등을 확인할 길이 없다. 그런데 역과방목에 기재된 내용을 통해서 역과 설행의 실태, 중인인 역관의 사회적 지위와 가계 배경 및 세전성을 분석할 수 있어서 잡과 중인 연구에 없어서는 안 될 귀한 주1

참고문헌

원전

『대전회통(大典會通)』
『통문관지(通文館志)』
『역과방목(譯科榜目)』

논문

이남희, 「잡과방목과 한국학 자료의 외연 넓히기」(『장서각』 32,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이남희, 「조선후기 잡과의 위상과 특성」(『한국문화』 58,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주석
주1

이남희, 「잡과방목과 한국학 자료의 외연 넓히기」, 『장서각』 32, 2014, 328쪽.

주3

자(子), 묘(卯), 오(午), 유(酉) 따위의 간지(干支)가 들어 있는 해. 3년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데, 이해에 과거를 실시하거나 호적을 조사하였다. 우리말샘

주4

시험을 보아 인재를 뽑음. 우리말샘

주5

현직을 떠난 문무관에게 계속하여서 녹봉을 주려고 만든 벼슬. 우리말샘

주6

사신이 외국에 갈 때 수행하던 관원. 종속국이 종주국에 때를 맞추어 바치는 물건과 교역하는 물건을 관리하였다. 우리말샘

주7

조선 시대에, 사역원에서 사신을 수행하던 세 등급의 역관. 통사, 압물 및 압마, 타각부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8

베풀어 행함. 우리말샘

주9

역적을 토벌함. 우리말샘

주10

잘 가르치고 타일러서 지난날의 잘못을 깨우치게 함. 우리말샘

주11

두 사람이 마주 대하여 이야기함. 우리말샘

주12

대대로 전함. 또는 대대로 전하여 내려옴.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