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교향악단 (서울)

현대음악
단체
1957년 서울특별시 산하에 창단된 교향악 연주단체.
이칭
이칭
서울시립교향악단, 서울시향, 서울관현악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57년 서울특별시 산하에 창단된 교향악 연주단체.
개설

1945년김생려(金生麗)를 중심으로 설립된 고려교향악단을 모체로 그후 서울교향악단을 발족하였다. 1950년 해군정훈음악대가 창단해 연주회를 가졌으며, 1954년 해군교향악단으로 개칭하고, 1957년에 서울특별시 산하의 서울시립교향악단으로 재발족했다. 1999년 7월 재단법인으로 전환된 세종문화회관의 전속단체로 편입되었으며, 2005년 6월에 재단법인 서울시립교향악단으로 명칭을 변경하며 독립하였다. 시립교향악단으로는 가장 긴 역사를 가졌으며 세계무대에 우리민족의 예술성과 저력을 확인시키며, 세계적 문화도시 서울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1945년 10월 당시 유일한 교향악단이었던 고려교향악단(高麗交響樂團) 창단에 참여하였던 바이올리니스트 김생려가 민중음악운동을 표방하며 1947년 일부 고려교향악단의 단원을 포섭하여 서울관현악단을 창단하였고, 곧 이어서 서울교향악단으로 개칭하여 연주회를 가졌다.

제1회 정기공연은 1947년 10월시공관(명동소재, 현 증권회사)에서 김성태(金聖泰) 지휘로 베토벤교향곡 제1번등을 연주하였고, 제2회 공연은 김준덕(金俊德) 지휘로 베토벤교향곡 제8번등을 연주하였다. 제3·4회정기공연 때는 당시 미국인 방송국 고문이었던 롤프 자코비가 지휘하여 교향악단의 수준향상에 기여하였다.

그 뒤 김생려가 상임지휘자로, 임원식(林元植)이 객원지휘자로 활약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의 발발로 해체되었으나 다시 9·28수복 이후 서울교향악단 잔여 멤버와 음악인들이 해군문화선구대를 조직하고, 1950년 해군창설5주년기념식과 함께 해군정훈음악대(海軍政訓音樂隊)를 창단, 연주하였다. 그 해 12월 단원 150명으로 보강되어 부산으로 내려가 1953년 9월 이전까지 일반시민과 군대위문공연 등으로 활동하였다. 1953년 서울로 환도 후 시공관에서 정기공연을 가지고, 1957년 3월 동남아시아친선사절단으로 사이공·타이베이·홍콩 등지를 순회 연주하였고, 해군교향악단으로 개칭하였다.

그러나 1957년 휴전협정 이후 해군의 교향악단 유지가 어려워지자, 지도자들의 노력으로 1957년 9월 서울시립교향악단이 단원을 흡수하여 재발족하였다. 1965년 일본공연을 시작으로 1977년 동남아 순회공연, 1986년 미국순회공연, 1988년 유럽순회공연,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축하공연 및 1997년 중국 북경공연을 통하여 그 수준을 유감없이 발휘한 바 있다. 1999년 7월 재단법인으로 전환된 세종문화회관의 전속단체로 편입되었으며, 2005년 6월에 재단법인 서울시립교향악단으로 명칭을 변경하며 독립하였다. 정기연주회 외에도 많은 특별연주회를 열고 있으며 이 악단의 상임지휘자로는 김만복(金萬福, 1961∼1969)·원경수(元京洙, 1970∼1971)·정재동(鄭載東, 1974∼1990)·박은성(朴恩聖, 1991∼1992)에 이어 다시 원경수(1994∼1996)·마르크에름네르(2000∼2002)·곽승(郭昇, 2003∼2005)·정명훈(鄭明勳, 2006∼2015)등이 있으며, 핀란드 출신의 오스모 벤스케(Osmo Vänskä, 2020~)가 음악감독을 맡고 있다.

기능과 역할

음악감독 오스모 벤스케와 수석객원지휘자 티에리 피셔와 마르쿠스 슈텐츠, 세계적 명성의 객원지휘자, 협연자가 함께하는 정기연주회는 탁월한 음악적 성과와 프로그래밍으로 한국 클래식 음악계를 주도하고 있으며, 이안 보스트리지(2018), 크리스티안 테츨라프(2019), 호칸 하르덴베리에르(2020) 등 세계적 음악가를 올해의 음악가로 영입하며 예술적 안정성과 수월성을 공고히 하고 있다. 서울시향은 전문 공연장에서의 콘서트 외에도 다양한 시민공연을 펼치며 서울시민과 호흡하고 있다. 병원, 교도소, 구민회관 등을 방문하는 ‘우리동네 음악회’, ‘광복절 기념 음악회’, 한강변에서 펼쳐지는 대규모 야외공연 ‘강변음악회’ 등은 서울시민들에게 사랑받는 이벤트로 자리 잡았다.‘우리아이 첫 콘서트’, ‘교과서음악 영상화’ 등 생애주기별 교육프로그램을 체계화하여 진행하고 있으며, 공연관람 고객을 위한 ‘콘서트 미리 공부하기’, 차세대 지휘자 양성을 위한 ‘지휘 마스터클래스’, 악기 전공생을 위한 ‘오케스트라 마스터클래스’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클래식 음악의 저변 확대는 물론 전문 연주자 양성을 위해서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밖에도 장애인, 문화소외계층 등에 대한 지원 확대, 국내외 문화기관 및 단체와의 업무협력 등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문화향유 기회 확산 및 환경개선에 앞장서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