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무릉기」는 작자·연대 미상의 국문 필사본으로, 혼사장애담(婚事障碍談) 유형의 작품이다. 원본 계열 이본 중 김광순본이 선본(善本)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하국대적퇴치담(地下國大賊退治談)’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여인을 납치해간 존재가 괴물이 아니라 왜장인 점, 지하국이 서해무릉의 백두산으로 굴절된 점, 신이로운 투쟁이 현실적인 위계로 변질된 점 등에서 현세적·경험적 세계관이 작가의식 속에 투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전라도 전주에 사는 선비 유현중의 아들 유연은 15세에 장원급제하여 한림학사를 제수받고 금의환향한다. 하루는 유연이 친척 최공을 문병하러 갔다가, 최공의 딸에게 마음이 끌려 마침내 상사병을 앓게 된다. 이를 안 부모는 하는 수 없이 두 사람을 혼인시킨다. 혼례일 밤, 갑자기 한 떼의 도적 무리가 쳐들어와 순식간에 신부를 납치해 가버린다. 최 소저를 납치해 간 도적은 왜적의 괴수로, 최 소저를 서해무릉 백두산이라는 산적촌에 가두어 놓는다. 왜장은 최 소저가 마음을 돌이켜 자신과 혼인해 주기를 기다린다.
한편, 유연은 아버지의 재혼 강요에도 불구하고 최 소저를 잊지 못하다가, 마침내 부모에게 서한을 남긴 채 집을 떠난다. 전국 방방곡곡을 떠돌며 최 소저를 찾다가 드디어 금강산에 들어가 중이 되어 부처님에게 지성으로 발원한다. 하루는 금산사 미륵불이 꿈에 나타나 최 소저가 무사하다는 사실과 3년 뒤에는 만나게 되리라는 말을 듣고 다시 힘을 얻어 길을 떠난다. 유연은 여승으로 변장을 하고 최 소저의 자취를 수소문하다가, 드디어 배를 타고 대해를 건너 한 섬에 이르렀는데, 이곳이 바로 서해무릉이었다.
한편, 최 소저는 밤낮으로 울부짖으며 하루하루를 보낸다. 하루는 최 소저의 꿈에 금산사 부처가 나타나 내일 오시에 남편이 찾아올 것이라 말하고 사라진다. 이튿날 오시에 과연 한 여승이 찾아와서 양식을 구하는데 만나보니 유연이다. 둘이 만나 기쁨을 나누는데, 마침 적장이 들어와 유연을 쫓아낸다. 최 소저는 밤에 또다시 금산사 부처의 주2을 받아 장원을 빠져나오는 데 성공하고 드디어 유연과 만난다.
서해무릉을 빠져나온 두 사람은 천신만고 끝에 집으로 돌아온다. 유연의 가출로 홧병이 나 있던 아버지는 유연 부부를 집안에 들이려 하지 않으나, 장인 최 학사(최공)의 회유로 마음이 풀려 두 사람을 맞아들인다. 두 부부는 온갖 부귀와 영화를 누리다가 극락세계로 승천한다.
이 작품의 구성은 ‘지하국대적퇴치담(地下國大賊退治談)’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외지동 팔랑간의 도둑이야기」라는 전주 일원의 민담 내용이 이 작품과 유사한 점을 보이고 있어, 이 민담이 소설로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하국대적퇴치담’이 소설로 발전된 또 하나의 예로 「김원전(金圓傳)」이 있다. 이 두 작품은 여러 가지 구조적 측면에서 병렬성을 갖는다. 즉, 주인공의 변신, 신부의 납치와 구출 과정, 귀환 및 혼인 성취 과정의 기본 구조가 일치한다.
그러나 두 작품의 작가의식에서 포착되는 미학적 근거에는 차이점이 있다. 한 마디로 「김원전」은 신성(神性) 문화권에서 생산된 작품이다. 이에 반해, 「서해무릉기」는 불교적인 초월 미학을 배경에 깔고 있기는 하지만, 여인을 납치해 간 존재가 괴물이 아니라 왜장인 점, 지하국이 서해무릉의 백두산으로 굴절된 점, 신이로운 투쟁이 현실적인 위계로 변질된 점 등을 볼 때, 현세적 · 경험적 세계관이 작가의식 속에 투영되어 있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