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무릉기 ()

목차
관련 정보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국문 필사본으로, 혼사장애담(婚事障碍談) 유형의 작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서해무릉기」는 작자·연대 미상의 국문 필사본으로, 혼사장애담(婚事障碍談) 유형의 작품이다. 원본 계열 이본 중 김광순본이 선본(善本)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하국대적퇴치담(地下國大賊退治談)’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여인을 납치해간 존재가 괴물이 아니라 왜장인 점, 지하국이 서해무릉의 백두산으로 굴절된 점, 신이로운 투쟁이 현실적인 위계로 변질된 점 등에서 현세적·경험적 세계관이 작가의식 속에 투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국문 필사본으로, 혼사장애담(婚事障碍談) 유형의 작품.
내용

전라도 전주에 사는 선비 유현중의 아들 유연은 15세에 장원급제하여 한림학사를 제수받고 금의환향한다. 하루는 유연이 친척 최공을 문병하러 갔다가, 최공의 딸에게 마음이 끌려 마침내 상사병을 앓게 된다. 이를 안 부모는 하는 수 없이 두 사람을 혼인시킨다. 혼례일 밤, 갑자기 한 떼의 도적 무리가 쳐들어와 순식간에 신부를 납치해 가버린다. 최 소저를 납치해 간 도적은 왜적의 괴수로, 최 소저를 서해무릉 백두산이라는 산적촌에 가두어 놓는다. 왜장은 최 소저가 마음을 돌이켜 자신과 혼인해 주기를 기다린다.

한편, 유연은 아버지의 재혼 강요에도 불구하고 최 소저를 잊지 못하다가, 마침내 부모에게 서한을 남긴 채 집을 떠난다. 전국 방방곡곡을 떠돌며 최 소저를 찾다가 드디어 금강산에 들어가 중이 되어 부처님에게 지성으로 발원한다. 하루는 금산사 미륵불이 꿈에 나타나 최 소저가 무사하다는 사실과 3년 뒤에는 만나게 되리라는 말을 듣고 다시 힘을 얻어 길을 떠난다. 유연은 여승으로 변장을 하고 최 소저의 자취를 수소문하다가, 드디어 배를 타고 대해를 건너 한 섬에 이르렀는데, 이곳이 바로 서해무릉이었다.

한편, 최 소저는 밤낮으로 울부짖으며 하루하루를 보낸다. 하루는 최 소저의 꿈에 금산사 부처가 나타나 내일 오시에 남편이 찾아올 것이라 말하고 사라진다. 이튿날 오시에 과연 한 여승이 찾아와서 양식을 구하는데 만나보니 유연이다. 둘이 만나 기쁨을 나누는데, 마침 적장이 들어와 유연을 쫓아낸다. 최 소저는 밤에 또다시 금산사 부처의 주2을 받아 장원을 빠져나오는 데 성공하고 드디어 유연과 만난다.

서해무릉을 빠져나온 두 사람은 천신만고 끝에 집으로 돌아온다. 유연의 가출로 홧병이 나 있던 아버지는 유연 부부를 집안에 들이려 하지 않으나, 장인 최 학사(최공)의 회유로 마음이 풀려 두 사람을 맞아들인다. 두 부부는 온갖 부귀와 영화를 누리다가 극락세계로 승천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의 구성은 ‘지하국대적퇴치담(地下國大賊退治談)’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외지동 팔랑간의 도둑이야기」라는 전주 일원의 민담 내용이 이 작품과 유사한 점을 보이고 있어, 이 민담이 소설로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하국대적퇴치담’이 소설로 발전된 또 하나의 예로 「김원전(金圓傳)」이 있다. 이 두 작품은 여러 가지 구조적 측면에서 병렬성을 갖는다. 즉, 주인공의 변신, 신부의 납치와 구출 과정, 귀환 및 혼인 성취 과정의 기본 구조가 일치한다.

그러나 두 작품의 작가의식에서 포착되는 미학적 근거에는 차이점이 있다. 한 마디로 「김원전」은 신성(神性) 문화권에서 생산된 작품이다. 이에 반해, 「서해무릉기」는 불교적인 초월 미학을 배경에 깔고 있기는 하지만, 여인을 납치해 간 존재가 괴물이 아니라 왜장인 점, 지하국이 서해무릉의 백두산으로 굴절된 점, 신이로운 투쟁이 현실적인 위계로 변질된 점 등을 볼 때, 현세적 · 경험적 세계관이 작가의식 속에 투영되어 있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참고문헌

논문

강애희, 「서해무릉기연구」(『이화어문논집』 5,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1982)
권혁래, 「일제강점기 설화,동화집 수록 지하국 대적퇴치담의 환상성 연구-인물, 공간, 해결방식을 중심으로-」(『온지논총』 38, 온지학회, 2014)
김채인, 「「서해무릉기」 연구」(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송하준, 「「서해무릉기」 이본의 변이 양상과 그 의미」(『우리어문연구』 58, 우리어문학회, 2017)
주석
주1

보존 상태가 좋거나, 본문의 계통이 오랜 희귀한 책. 우리말샘

주2

죽은 사람이나 신령 따위가 꿈에 나타남. 또는 그 꿈.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