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회암은 탄산칼슘(CaCO₃)을 주성분으로 하는 퇴적암이다. 석회석이라고도 한다. 색깔은 백색·회색이 많으나 불순물의 함유에 따라 갈색이나 홍색을 띠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석회암은 산출이 풍부한 부존 자원 중 하나이다. 중국의 만리장성 수축에 석회석이 사용된 것으로 미루어 우리나라에서도 아주 옛날부터 석회암이 이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세종실록』 지리지·『신증동국여지승람』·『임원경제지』에는 석회암 산지에 관한 기록이 있다. 오늘날 시멘트의 발명, 제철 규모의 확대, 전기 화학공업 발달에 따라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석회석이라고도 하며, 흔히 백운석(白雲石)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탄산마그네슘(MgCO₃)의 함량 5% 이내의 것을 석회암, 5∼10%의 것을 고토질석회암(苦土質石灰巖), 10∼50%의 것을 백운질석회암, 50% 이상의 것을 백운암이라 칭한다. 일반적으로 석회암은 부성분광물(副成分鑛物)을 함유하는데, 특히 규산(硅酸) · 장석(長石) · 점토(粘土) · 황철석(黃鐵石) · 능철석(菱鐵石) 등이 들어 있다.
경도는 이들 불순물의 함량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나 대체로 3, 4 정도이고 비중은 2.7 내외이다. 색깔은 백색 · 회색이 많으나 불순물의 함유 정도에 따라 갈색 내지 홍색을 띠기도 한다. 석회암은 세계적으로 퇴적암 중에 전체 퇴적암층의 4분의 1 내지 5분의 1을 차지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경상남도와 제주도를 제외한 각 도에서 산출되고 있다. 대부분의 주요 석회암 광상이 강원도 중부와 충청북도 북부지역에 분포하는데, 태백산지역 석회암층은 충청북도 · 경상북도지역까지 연장 분포하여 이들 지역에서 산출되는 석회암 광량이 우리 나라 전체 매장량의 98%에 해당한다.
이들은 선캄브리아기(Precambria紀)로부터 석탄기(石炭紀)에 이르는 시기에 퇴적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중 대규모의 석회암광상은 선캄브리아기로부터 오르도비스기(Ordobis紀)에 이르는 조선계대석회암통(朝鮮系大石灰巖統)의 분포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석회암의 이용은 선사시대부터 시작하여 점차 그 용도가 다양화되면서 이용량이 증가하였으며, 오늘날에 와서는 수요량이 모래 · 자갈 다음에 이르게 되었다. 중국의 만리장성 수축에 많은 양의 석회석이 사용된 것으로 미루어 우리 나라에서도 아주 옛날부터 석회암이 이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세종실록』 지리지 · 『신증동국여지승람』 · 『임원경제지』에는 많은 석회암 산지에 관한 기록이 있다.
우리 나라에서 석회암은 부존자원 중 그 산출이 풍부한 자원 중의 하나이다. 1962년 태백산지구 지하자원 조사 때 삼척 · 단양 · 영월 · 예미 · 문곡 지역에 걸쳐 대규모 지질조사가 이루어졌고, 이에 지하자원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우리 나라 석회암광상의 분포 · 품위 · 매장량 · 잠재량 등을 밝혀 자원개발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오늘날 석회암의 수요는 시멘트의 발명, 제철규모의 확대, 전기 화학공업의 발달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도 시멘트의 원료, 제철과 제강의 용제(溶劑)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그밖에 토질개량재, 요업 · 화공 원료, 충진재 등의 기타 수요가 늘고 있다.
석회석은 용도에 따라 품위 및 규격요건이 다르나 가장 중요한 것은 산화칼슘(CaO) 함량이다. 수요의 대종인 시멘트와 농업 및 기타 부문에서는 중급품 석회석을 사용하고, 제철 · 화공 · 요업 등에서는 까다로운 물성과 함께 고품위 석회석을 요구한다. 우리 나라는 품질면에서 중급품 석회암의 막대한 양이 태백산지역에 매장되어 있어 국내 수요의 80%를 차지하는 시멘트용 석회암에 대한 공급이 충분하다.
그러나 제철용제 등에 쓰이는 고품위 석회암은 산출이 한정되어 일부 원광을 수입까지 하였으나, 점차 국내 석회암으로 대치하고 있다. 지난 수년간의 자원조사 결과 강원도 정선군 동면과 삼척군 하장면 일대의 대석회암통 중 풍촌층(豐村層) 상부에 고품위석회암층이 협재되어 산출됨이 밝혀져 이 분야의 수요에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석회암의 주요한 용도는 포틀랜드 시멘트, 경량(輕量)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원료와 용광로 용제 · 내화벽돌 라이닝 등의 제철용제이다. 그밖에도 석회질비료의 농업용과 기타 카바이드 제조, 제지, 수질검사용으로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