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불인유경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문헌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염불 수행에 관한 불교 경전.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시대
간행 시기
조선시대
권책수
3권 1책
판본
목판본
표제
念佛因由經
소장처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염불인유경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염불 수행에 관한 불교 경전이다. 이 경전에서는 염불에 관하여 3개의 장(章)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염불요문」에서는 염불 삼매를 얻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고, 「수삼밀증염불삼매문」에서는 염불법을 유상(有相)과 무상(無相)으로 나누어 설명하며, 「구생왕문요출」에서는 한적한 곳에서 계행을 맑고 깨끗하게 수행하면 서방 정토에 태어날 것이라 설명하고 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염불 수행에 관한 불교 경전.
참고문헌

원전

『염불요문(念佛要門)』
『삼문직지(三門直指)』

논문

고익진, 「보조선맥의 정토사상 수용 - 새로 나온 염불인유법문을 중심으로」 (『불교학보』 23,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86)
오노 겐묘(小野玄妙), 「慈愍三藏の淨土敎」 (『佛敎の美術と歷史』, 1937)

인터넷 자료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집필자
이종수(순천대학교 사학과 교수, 조선불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