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의석 ()

목차
관련 정보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건축
인물
대한제국기 원형극장인 협률사, 덕수궁 내의 석조전 등을 신축한 건축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4년(철종 5)
사망 연도
1924년
본관
청송(靑松)
출생지
서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한제국기 원형극장인 협률사, 덕수궁 내의 석조전 등을 신축한 건축가.
개설

대한제국기 서양인들과 교류하며 서양의 건축술을 습득한 근대 건축가로 협률사, 덕수궁 내 석조전의 건설에 참여하였다. 본관은 청송(靑松). 서울에서 태어나 정동(貞洞)에서 거의 전생애를 보낸 한학(漢學)을 배운 세대이다. 그에게 미국 감리교 선교사들과의 만남은 서구건축에 눈뜨는 계기가 되었으며, ‘정동구락부(貞洞俱樂部)’를 중심으로 서구문명에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그의 첫 번째 신건축 참여는 배재학당(1887)으로, 단층 벽돌조 건물인 교사(校舍)는 그가 처음으로 벽돌건축에 참여한 경험을 쌓은 건축물이었다. 이어 시병원(施病院, 1890)을 건립하였으며, 1896∼1897년에는 러시아의 건축가인 사바틴(Sabatin, A. I. S.)의 설계에 따라 서대문 영은문(迎恩門) 자리에 기념할 만한 석조건조물로서 서울 독립문을 세웠다.

그는 서양인들을 통하여 서양건축술을 터득하여 학교 · 병원 등 각종 건축물의 신축에도 계속 참여하였는데 그중 하나가 정동제일교회(貞洞第一敎會)의 건축이었다. 정동교회는 1895년에 착공, 1898년 10월에 준공되었는데, 이 교회의 3층 벽돌조 종탑(鐘塔) 건조는 건축기술사적으로 독립문의 석조구조물과 함께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그 밖에 서양건축물로서 정동 이화학당본관(Main Hall, 1897∼1899), 상동교회(尙洞敎會, 1900∼1901)가 있다.

한편 그는 파고다공원 내의 팔각정(八角亭, 1897), 조선호텔 내의 원구단(圜丘壇)과 황궁우(皇穹宇) 그리고 석고단(石鼓壇, 1901.11.), 광화문 소재 기념비각(紀念碑閣, 1902.9.) 등 전통건축에도 참여하였다. 또, 당시의 선각자 이채연(李采淵) · 남궁억(南宮檍)과 함께 서울을 개혁하는 데 선구적 역할을 하였으니, 우리나라 최초의 극장이며 또한 최초의 원형극장인 협률사(協律社, 1902.8.)는 그가 세운 것이다. 그 밖에 이화여고 프라이홀(Fry Hall) 자리에 있던 손탁호텔(孫鐸hotel)(1902∼1903), 덕수궁 내의 석조전(石造殿, 1909) 등도 그가 지었다.

한일합방 후에는 관직에도 올라, 개화기의 선각자 유길준(兪吉濬)과 함께 참사(參事)가 되어 참사제도가 폐지된 1919년까지 내부아문(內部衙門)의 기사직(技師職)에 있었다. 우리나라 전통건축의 마지막 세대인 동시에 개화기 신건축의 첫 세대로서, 또 그 시대의 선각자로서 활동하였던 도시건설자 · 건축가였다.

참고문헌

『경성부사(京城府史)』
「한국근대건축의 재조명」(김정동, 『건축사』, 건축사협회, 1987.5.∼1989.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