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근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신한청년당 이사, 임시정부 특파원, 중로연합선전부 선전지부장, 임시의정원 의원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안청(安淸), 안정근(安正根)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5년(고종 22)
사망 연도
1949년
출생지
황해도 신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신한청년당 이사, 임시정부 특파원, 중로연합선전부 선전지부장, 임시의정원 의원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개설

이명(異名)은 안청(安淸) · 안정근(安正根). 황해도 신천 출신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8년 11월 중국 길림 지역에서 우리나라의 자주독립을 위해 무오대한독립선언서(戊午大韓獨立宣言書)에 서명하고, 일제의 전제적 학대와 압박에서 벗어날 것을 선포하였다.

같은 해 상해로 가서 신한청년당(新韓靑年黨)의 창당에 여운형(呂運亨) · 조동호(趙東祜) 등과 참여해, 이사장으로 서병호(徐丙浩)를 추대했으며, 김구(金九)와 함께 이사에 피임되었다. 1919년 11월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국내조사원제(國內調査員制)를 실시할 때 황해도 신천군의 조사원으로 파견되어 활동하였다.

같은 해 상해 대한적십자회(大韓赤十字會)의 정기총회에서 부회장으로 선출되기도 하였다. 1921년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특파원으로 왕덕삼(王德三)과 함께 간도지역에 파견되어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 간의 군사통일조정을 위해 활동하였다.

또한, 노령 니코리스크에서 중로연합선전부(中露聯合宣傳部)를 조직해 선전지부장이 되어 간도지방에 있는 일본군경에 대한 정찰 및 전투를 감행하였다. 1921년 간도와 훈춘(琿春)에서 휘하에 15명을 데리고 무장한 뒤 돈화현(敦化縣)과 연길현(延吉縣) 삼도구(三道溝)지방에서 독립운동의 선전 및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같은 해 7월 상해에서 조직된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 조직에 참여해 독립운동의 방략과 편견 등을 조정하는 데 주력하였다. 1922년 상해에서 중한호조사(中韓互助社)를 설립해 중국민과의 친화를 도모하며 『독립신문(獨立新聞)』을 발행하고 독립운동의 선전과 군자금 모금을 위주로 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해 5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의원에 선출되었다. 같은 해 신한청년당의 수뇌부들이 공산당으로 변신해 당내부에 분열이 생기자, 대한민국임시정부계열인 김구와 김인전(金仁全) 등과 함께 신한청년당을 탈당하였다.

그 뒤 1926년부터 1936년에 이르는 기간은 조국광복에 대비해 조선사업(造船事業)으로 위장하고 공작선(工作船) 건조에 진력하다가, 일제의 탄압이 극심해지자 홍콩으로 피신하였다. 1939년 6월 뇌병으로 인해 중국 각지를 이주하면서 은거생활을 하다가 1949년 3월 상해에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198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조동우항일투쟁사』(이현희, 청마출판사, 1992)
『대한민국임시정부사』(이현희, 집문당, 1982)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1976)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1974)
『독립운동사자료집』 9·1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5·1976)
『독립운동사』 3∼5(독립운동사편찬 위원회, 1971∼1973)
『朝鮮民族運動年鑑』(上海日本總領事 館警察部, 東文社, 1946)
『國外容疑朝鮮人名簿』(總督府警務局, 1934)
『高等警察要史』(慶北警察部, 1934)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