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이록 ()

영이록
영이록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3권 3책. 국문 필사본. ‘손천사영이록’이라고도 한다. 이른바 ‘영웅의 일대기’에서 발견되는 구조적 특징을 충실히 수용하고 있는 작품이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송나라 때의 어진 재상인 손일원은 늦게야 옥황상제의 점지로 아들 손기를 얻는다. 손기는 생김새가 추하고 제대로 말도 못하며 걷지도 못하는 장애아로 태어난다. 한편, 참지정사 형옥은 슬하에 2남 7녀를 두었는데, 일언선생이라는 한 도인의 천거를 받고 손기를 여섯째 딸의 배필로 맞아들인다.

장모를 비롯한 온 집안식구는 그를 학대하고 구박한다. 게다가 형참정이 막내딸의 배필로 소운성이라는 영특한 인물을 맞아들이자, 손기 부부는 후원의 별당으로 몸을 숨겨 소운성과의 대면을 피한다. 그러나 소운성은 기회만 있으면 손기를 조롱하고 괴롭힌다.

이에 손기는 집을 떠나 동악묘의 청성관이라는 도관에서 하늘의 비결이 담긴 천서(天書)를 얻어 연찬(硏鑽)에 몰두한다. 손기의 부인은 꿈속에서 백의관음으로부터 손기가 하늘이 보낸 인물임을 듣는다. 손기는 마침내 도를 크게 이루고 집으로 돌아와, 여러 가지 신령스러운 이적(異蹟)을 행한다.

손기가 소운성의 아들을 죽을 병에서 구해주자, 소운성은 전죄를 크게 뉘우친다. 이 때, 황제가 요얼의 장난으로 빈사지경에 빠지게 되어 손기가 입궐하였다. 손기는 장천사라는 도사와 신통력 경합을 벌인 끝에 그를 굴복시킨다. 그가 황제의 병이 궁궐 후원의 못 속에 있는 업룡(業龍)의 사악한 기운 때문임을 깨닫고 신통한 도술로써 이를 퇴치하자, 사경을 헤매던 황제가 거짓말처럼 쾌차한다. 손기는 호국천사(護國天師)에 봉작되어 금오산 천사부에 입궐한다. 그 뒤 손천사 부부는 50년 동안 산중재상(山中宰上)의 영화를 누린 뒤 수명이 다하여 백학을 타고 청성산 선계로 돌아간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주인공 손기의 시련과 변신에 관한 문제이다. 바보에 지체장애아로 태어난 손기는 세 차례의 큰 시련을 극복하고 나서, 하늘이 맡긴 인간제도(濟度)의 위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가 겪은 세 가지의 시련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시련은, 바보사위에 대한 처가권속의 학대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우서학대담(愚婿虐待譚)은 ‘바보온달’이야기 이래로 흔히 눈에 띄는 민담 유형이다. 「낙성비룡(洛城飛龍)」·「신유복전(申遺服傳)」·「소대성전(蘇大成傳)」 등의 고전소설에서도 이 모티프가 발견된다. 따라서, 이 작품은 「낙성비룡」·「신유복전」·「소대성전」 등과 함께 혼사장애가 수반되는 영웅담으로 파악할 수 있다.

주인공이 겪는 두번째 시련은 요사한 술법으로 사람들을 현혹시키는 장천사와의 신통력 경합 장면이다. 이러한 신성쟁투(神聖爭鬪) 장면은 「동명왕전승(東明王傳承)」·「유충렬전」 같은 영웅신화나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례이다. 한마디로 취임(就任) 모티프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인공이 치러야 하는 최종적인 시련은 업룡과의 대결이다. 이러한 이물(異物), 특히 용과의 신통력 경합 장면은 작제건(作帝建)·거타지(居陀知) 등의 설화에서 볼 수 있다. 또 「최고운전(崔孤雲傳)」에서 주인공이 당나라에 들어갈 때 한 섬에서 겪는 시련과도 접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 때, 주인공의 적대세력은 매우 다양하다. 첫째, 세속적 권력과 부귀로 상징되는 병부상서 소운성, 둘째, 정도(正道)에서 벗어난 요사한 술법의 상징인 장천사, 셋째, 옥황상제, 즉 하늘의 섭리를 거역하는 업룡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작품 구조에는 작가의 세계관이 용해되어 있다. ‘영이록’이라는 표제에서 암시하는 바와 같이, 작가는 천상적 비의와 현묘한 도리에서 우주질서의 원리를 찾고 있는 것이다. 지상세계에 시현되는 일체의 현상이나 생성, 변화는 모두 천의(天意)의 구현일 뿐이다. 이 하늘의 뜻을 거역하려 할 때는 무서운 혼돈과 파국으로 귀착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작가의식의 핵을 이룬다.

학계에는 이 작품이 「소현성록」의 파생작이라는 견해와, 그에 대한 반론이 함께 제기되어 있는데, 「소현성록」의 파생작이라는 명확한 근거는 아직 찾아볼 수 없다. 이 작품은 낙선재본으로,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있다.

참고문헌

「소현성록 연작연구」(박영희, 이화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4)
「영이록연구」(임치균, 『고전문학연구』8집, 1993)
「영이록해제」(이상택, 『한국고전소설의 탐구』, 1981)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