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재방일기 ()

고전산문
작품
조선 후기에 민우룡(閔雨龍)이 지은 비망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민우룡(閔雨龍)이 지은 비망록.
구성 및 형식

단책. 필사본. 1776년(영조 52) 작자가 제주도를 재방(再訪)하였을 때 그곳의 생활상을 일록체로 요점만 뽑아 기록한 것이다. 한장(韓裝)의 사침철장본(四針綴裝本)이며, 가로 23㎝, 세로 18.5㎝의 15장으로 된 친필 원본이다.

‘세유조군탄(歲柔兆涒灘)’이란 간기(干記)로 볼 때, 병신(丙申), 곧 1776년에 철장(綴裝)된 것이다. 지은이가 1772년에 제주통판(濟州通判)으로 부임하는 전우성(全宇成)을 따라 제주도를 탐승하고 돌아왔다. 이후 1776년에 다시 이곳에 들어갔는데, 1779년(정조 3)에 되돌아오기까지의 4년간에 걸친 갖가지 생활상을 기록한 것이다.

내용

여기에는 제주도로 출행하기 이전인 1776년 11월 이전에 서울로 올라갔다가 다시 그 뒤에 제주도로 들어가는 노정(路程)과 항정(航程), 그리고 그간의 천후(天候)와 가는 길에 얽힌 인정과 세태를 담았다. 그리고 다시 만나 환대받는 우의(友誼)와 더욱 지난번에 사귀었던 기생 애월(愛月)과의 재회와 밀월, 절척(絶斥)의 애달픈 사연이 그려져 있다. 또한 그 곳 풍습과 강학(講學) 등이 기록되어 있다.

중간에는 긴요한 약방문(藥方文)이 삽입되었고, 특히 애월과의 절척으로 빚어지는 애연한 심회를 읊은 염정적(艶情的)인 순수 서정의 사류가사(士類歌辭)인 「금루사(金縷辭)」가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일기는 당시의 제주행 노정과 항정을 비롯하여 그곳 천후와 인심 세정, 풍습과 백두서생의 생활상을 살피는 귀중한 자료이다. 그러한 가운데서도 염정을 직접적인 소재로 한 보기 드문 사류가사인 「금루사」가 수록되어 있으므로 더욱 가사문학의 값진 자료라는 문헌적 의의를 지닌다.

참고문헌

『취은정유고(醉隱亭遺稿)』(필사본)
「금루사고」(홍재휴, 『국문학연구』5, 효성여자대학교,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