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서 ()

목차
관련 정보
서예
개념
전서보다 간략하고 해서에 가까운 한자서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예서는 전서보다 간략하고 해서에 가까운 한자의 서체이다. 전서는 중국의 전국시대부터 진나라 때까지 공식 서체였다. 전서의 자획을 간략화하고 일상적으로 쓰기에 편리한 서체로 만들어진 것이 예서이다. 예서는 소전에서 8분을 남겼다 하여 팔분이라고 하며 고예라고도 한다. 『당육전』에 의하면 예서는 후세의 해서라고도 하였다. 이처럼 예서와 팔분 및 고예·해서의 명칭이 혼용되어 사용되었다. 그런데 그 체화가 변하기 시작하여 점과 탁, 조와 적을 더하여 주요 서체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에는 이 서체를 해서, 또는 진서·정서라 한다.

목차
정의
전서보다 간략하고 해서에 가까운 한자서체.
내용

중국의 전국시대부터 진(秦)나라의 국가통일기에 걸쳐, 그때까지의 공식서체였던 전서(篆書)의 자획을 간략화하고, 일상적으로 쓰기에 편리한 서체로서 만들어졌다. 따라서 예서는 소전(小篆)에서 2분(分)은 변하고 8분(分)을 남겨 놓았다 하여 이것을 팔분(八分)이라고도 하며 또 고예(古隷)라고도 한다.

이에 대해서는 그 명칭과 자체(字體)에 많은 이설이 있는데, 각가(各家)의 저작을 통하여 명칭 및 출처와 해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예서(隸書): 진대(晉代) 화가인 위항(衛恒)은 “예서란 전의 빠른 것(隷書 篆之捷也)”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전서가 너무 번잡하여 그것을 간첩(簡捷)하게 하려고 한 것이다. 또 송대(宋代) 화가인 서개(徐鍇)의 『설문해자』 서(序)에 의하면 진시황 때 사람 정막(程邈)이 대전을 성개(省改)하였다 하므로, 예서는 소전과 동시에 이루어진 가장 빠른 것임을 알 수 있다.

② 고예(古隸): 『서경잡기(西京雜記)』에는 두릉(杜陵)의 추호(秋胡)가 상서(尙書)에 능통하며 고예를 잘 썼다고 하고, 고예는 정막이 옥중에서 대전을 변화시켜 만든 것이라 하였다. 여기에서 고예는 진예(秦隷)와 거의 동종(同種)의 자체이나 후대에 명칭이 달라졌을 뿐이며, 이 자체의 특징은 ‘불위체세(不爲體勢)’라는 점에서 한대의 예식자체(隷識字體), 즉 파책도법(波磔挑法)이 없는 한예(漢隷)가 그것이다.

③ 진예(秦隸): 오구연(吾丘衍)의 『학고편(學古編)』에 “진예는 체세(體勢)는 갖추지 않았으나 한의 관지(款識)의 전자(篆字)와 가깝다.”고 하였다.

④ 팔분(八分): 한대 채옹(蔡邕)의 딸인 채염(蔡琰), 장회관(張懷瓘) · 오구연 등의 설에 의하면, 팔분은 소전 이후이고 한예 이전의 자체라고 하므로, 진예나 고예가 곧 팔분을 말하는 것이다.

⑤ 한예(漢隸): 후한(後漢) 비각(碑刻)에 파책이 있는 서체를 한예라 한다고 하였다.

⑥ 초예(草隷) · 예초(隷草): 『진서(晉書)』 「신밀전(辛謐傳)」에 “밀(謐)은 학문이 해박하고 글을 잘 하여 초예를 잘 썼으니 당시의 해법(楷法)이 되었다.”고 하였으며, 또 북위(北魏)의 서예가 왕음(王愔)은 “차중(次仲)이 비로소 파세(波勢)를 띠어 건초(建初) 연간에 예초로 해법을 이루었으니 자방(字方) 팔분으로 말하기를 모범이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초예 · 예초는 일체(一體)의 것으로 예서의 초솔(草率)한 맛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⑦ 해서(楷書): 장회관은 “팔분은 본래 해서를 이름이니, 해서란 법(法)이요, 식(式)이요, 모(模)라.”하였다.

⑧ 진정(眞正): 장회관의 『육체서론(六體書論)』에 “예서는 정막이 만들었으니 자(字)가 모두 진정하여 또한 진서(眞書)라.”고 하였다.

이 밖에도 『당육전(唐六典)』에 예서는 후세의 해서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당대석경(唐代石經) 및 약간의 비갈(碑碣)은 도법(挑法)의 예서로 썼으되 이것을 소위 팔분이라 하였으니 일반으로 말하는 당예(唐隷)이다. 또 당인(唐人)의 전적(典籍)이나 공문(公文)은 자연히 후세에 말하는 당해(唐楷)로 서사(書寫)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예서와 팔분 및 고예 · 해서의 명칭이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으나, 역대 서체의 명칭 변천과 현존하는 역대 서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서는 고예(혹 진예) 및 분예(分隷, 또는 한예)의 2종이다. 고예는 전서의 빠른 것으로 그 체는 방편(方扁)하며 파세(波勢)가 없고 진대(秦代)에 이미 있었으며 서한(西漢) 때에 통용하였다. 분예는 이를 이어서, 즉 고예가 변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결체(結體)는 거의 같으나 파세를 더하여 동한(東漢) 때에 성행하였다.

또 예서의 명칭은 당대(唐代)에 이르도록 연용(沿用)되었으며 그 체화(體畫)가 동한으로부터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여기에 점(點)과 탁(啄)과 조(挑)와 적(趯)을 더하여 분예 이후의 주요 서체를 이루었다. 이 체를 당대에는 그대로 예서라 명칭하였으나 현재에는 해서(楷書), 또는 진서(眞書) · 정서(正書)라 칭한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 6: 서예』(임창순 감수, 중앙일보사, 1981)
『中國書法大辭典』(香港 書譜出版社,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