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자록 ()

고전산문
작품
조선 광해군 때, 유진(柳袗, 1582~1635)이 지은 일록류(日錄類)의 산문.
이칭
이칭
임자록전등(壬子錄傳謄)
작품/문학
창작 연도
1634년
작가
유진(柳袗)
원작자
유진(柳袗)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임자록(壬子錄)』은 조선 광해군 때 유진(柳袗)이 지은 일록류(日錄類)의 산문이다. 1612년 임자(壬子)년에 31세의 나이로 겪었던 옥고(獄苦) 체험을 일록체로 남긴 글이다. 유진은 광해군 당시 김직재·김백함 부자에 대한 무함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겪게 되었다. 이때의 체험을 상세하게 남긴 기록이다.

정의
조선 광해군 때, 유진(柳袗, 1582~1635)이 지은 일록류(日錄類)의 산문.
서지사항

『임자록(壬子錄)』은 한문본과 국문본이 함께 전한다. 한문본은 저자의 문집 『수암문집(修巖文集)』 권4에 실려 있고, 국문본은 필사본으로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지은이 유진유성룡(柳成龍)의 셋째 아들이다. 1612년(광해군 4) 임자 정월에 발생한 해서(海西)의 주1 사건인 김직재(金直哉)주2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를 입고, 하회에서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투옥되어 5개월 동안의 옥살이를 하다가 풀려나왔다. 이 책은 그해 7월에 고향으로 돌아와 9월에 형의 장례를 치르기까지의 기록이다. 기록에서 서술한 사건은 1612년의 일이지만, 기록으로 남겼을 당시는 저자의 만년인 1634년 경으로 추정된다.

‘壬辰錄(임진록)’이라는 표제의 필사본에 「임진녹」·「슈암션ᄉᆡᆼᄒᆡᆼ쟝」과 함께 ‘임ᄌᆞ록’이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 한문과 국문의 두 가지 문체로 함께 지어 남긴 것이다. 임자년(1612) 3월 15일까지의 기록밖에는 없는 한문본을, 뒤에 이재관(李在寬)이 국문본 「임ᄌᆞ록」에 의하여 뒷부분을 한역(漢譯)하여 완성하여 놓았다. ‘임자일록(壬子日錄)’이라는 제목으로 작자의 문집인 『수암문집』에 실려 있다.

국문본은 원전이 오랜 세월 전래되어 오는 동안에 낡아서 해어져 없어질 듯하므로, 상주 봉대(鳳坮)에 사는 진주강씨(晉州姜氏) 집안으로 출가한 유후조(柳厚祚)의 종고모 모녀가 1849년(헌종 15)에 새로 옮겨 베낀 것이다. 말씨나 내용으로 보아 별로 잘못 베낀 곳이 없이 원전의 모습을 그대로 잘 유지한 전사본(轉寫本)이라 할 수 있다.

내용

임자년 2월 27일 뜻밖에 나타난 안동 판관에 의하여, 본가인 안동 하회에서 체포되어 서울의 감옥으로 압송되어 오면서 겪은 괴로움과 착잡한 심회를 술회한 이야기이다, 투옥되어 옥살이하는 과정에서 겪은 옥중의 풍속과 보고 들은 이야기, 출옥하여 고향으로 돌아온 과정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억울한 옥사를 겪은 데 대한 서러움을 토로하는 한편 자신에 대한 변론을 함께 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것은 조선조 선비의 옥중기(獄中記)라는 색다른 내용의 글로서, 일록체로 구성된 자조적(自照的)인 수기문학(手記文學)이다. 그 표현이 간결·절실하고, 사건의 서술이 소상하게 표현되어 당시의 인심세태와 옥살이의 풍속을 잘 드러낸 작품이다. 구사된 어휘에는 토속적인 옛 어휘가 담겨 있어서 당시의 지방색 짙은 옛 말씨를 살피는 데도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원전

유진, 『수암문집』

단행본

홍재휴, 『역주 임진록』(영남대학교출판부, 2000)

논문

신승호, 「수암 유진의 「임자록」 연구」(『민족문화』 47, 한국고전번역원, 2016)
홍재휴, 「임자록」(『국문학연구』 7·8, 1983)

기타 자료

유진 저, 홍재휴 교주, 「임자록」(『월간중앙』 68·69, 중앙일보사, 1973)
주석
주1

역적 사건이나 반역 사건에 대한 옥사. 우리말샘

주2

아무 죄도 없는 사람을 죄가 있는 듯이 꾸며 내어 그 죄를 다스림. 또는 그 옥사. 우리말샘

집필자
백진우(서강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