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은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에 속하는 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52.82㎢
둘레
56.8㎞
소재지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자은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에 속하는 섬이다. 자은도는 남쪽에 위치한 암태도와 은암대교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2019년 4월 천사대교의 개통으로 인해 육지와 연결되었으며 2022년에는 백길해수욕장을 중심으로 대형 리조트가 입지함으로써 새로운 관광지로 발돋움하고 있다.

정의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에 속하는 섬.
개설

자은도는 동경 126°04′, 북위 34°88′에 위치하고 있으며 목포(목포시청)에서 서쪽으로 약 32.5㎞ 떨어져 있고 남쪽에는 암태도가 있다. 면적은 52.82㎢, 해안선 길이는 56.8㎞이다. 2022년 기준 인구는 2,285명(남 1,214명, 여 1,071명)이고 세대수는 1,313호이다.

남서쪽 해안의 백길해수욕장과 섬 서쪽의 자은용소가 유명하다. 백길해수욕장을 중심으로 백길해변캠핑장이 조성되어 있고 2022년에는 라마다프라자 씨원리조트가 오픈하기도 하였다.

명칭 유래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군 주1을 따라 참전했던 두서춘(斗四春)이 반역으로 몰려 이곳 자은도로 피신하게 되었다. 두서춘이 섬에 들어와서 보니 지형 · 지세에 모난 곳이 없고 사람들의 인심이 좋고 온후하여 생명을 보존할 수 있었는데, 훗날 이에 대한 기억으로 섬의 이름을 자은도라 불렀다고 한다.

자연 환경

노령산맥의 지맥 말단이 침수되어 나타난 섬으로 동북부에는 두봉산(斗峰山, 364m) 등의 구릉성 산지가 발달하고 있다. 또한 남부에는 간석지를 이용한 비교적 넓은 평야가 발달하고 있다.

지질은 주로 산성 화산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1월 평균 기온 0.8℃, 8월 평균 기온 26℃, 연 강수량 984㎜, 연 강설량 6.2㎜이다. 식생은 난대성 식물인 북가시나무 · 녹나무 · 후박나무 · 동백나무 · 구실잣밤나무 · 사철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형성 및 변천

삼국시대에는 나주목에, 1882년(고종 23)에는 영광군에, 1886년에는 지도군에, 1914년에는 무안군에 속하였다가 1969년에 이르러 신안군에 속하게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전라남도 서남부의 최대 수군 주둔지였으며, 두봉산에 아직 산성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에는 목장으로 말을 사육하였으며, 일제강점기 때는 일본 수군 진지로 이용되었다. 구영리에 복룡사가 있고, 유천리에 도명사가 있다.

현황

주민들은 어업 보다는 주로 농업에 치중하며, 2022년 기준 경지 면적은 논 7.67㎢, 밭 10.74㎢, 임야 25.52㎢이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 · 보리의 생산이 많고 그 밖에 양파 · 대파 · 마늘 · 콩 · 땅콩 · 밤고구마 등이 생산된다. 특히 마늘 생산량이 많다. 최근에는 방울토마토 생산이 새로운 소득원이 되고 있다. 근해에서 민어 · 농어 · 병어 · 송어 · 낙지 · 장어 · 젓새우가 어획되며, 김 · 백합 · 굴 등의 양식업이 활발하고 제염업도 발달하였다.

자은면에 속하는 행정리로는 고장리, 구영리, 대율리, 면전리, 백산리, 송산리, 유각리, 유천리, 한운리가 있으며 섬 중앙부의 자은면 구영리에 위치한 자은면사무소를 중심으로 파출소, 우체국, 보건지소 등이 있는 가장 규모가 큰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자은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자은초등학교(2022년 기준 학생 수 39명), 자은중학교(2022년 기준 학생 수 27명)가 있다.

교통 접근성으로는 1996년 암태도를 연결하는 은암대교가 개통되고 2019년 4월 암태도와 압해도를 연결하는 천사대교가 개통됨에 따라 육지와 연결되었으며 이로 인해 주로 육로 이동이 활발한 편이다. 대표적인 여객항으로는 섬의 동쪽 끝자락에 위치한 자은고교여객선터미널이 있다.

백길해수욕장, 분계해수욕장 등이 있고, 고장리에는 청동기 시대에 축조된 고인돌 4기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인 어업 형태인 한우리 주2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내고장 자랑』 (신안군, 1982)
『한국지명요람』 (건설부국립지리원, 1982)
『도서지』 (내무부, 1985)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신안군지』 (신안군지편도위원회, 2000)
『전남의 섬』 (전라남도, 2002)
『제62회 신안통계연보』 (신안군, 2022)

인터넷 자료

신안군관광협의회(www.shinantour.kr)
신안군청(www.shinan.go.kr)
주석
주1

중국 명나라의 무장(武將)(?~1598). 자는 자무(子茂). 호는 앙성(仰城). 임진왜란 때에 병사 4만을 이끌고 우리나라를 도우러 와서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군을 무찔렀으나, 벽제관(碧蹄館) 싸움에서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에게 크게 패하였다. 우리말샘

주2

돌담으로 만든 개막이. 밀물 때 들어왔다가 썰물 때 물이 빠지면서 갇힌 고기를 잡는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