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견학리 토성은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일대에 위치한 평지 토성이다. 가섭산 자락이 동쪽에서 평지를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구릉 말단부에 만들어졌고, 동쪽으로 요도천과 평지가 보인다. 충주 견학리 토성과 관련된 문헌 자료는 확인되지 않지만, 1980년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 두 차례의 발굴 조사를 통하여 남북 축으로 약 58m, 동서 축으로 49m의 방형임이 밝혀졌으며, 추정 둘레는 약 214m이다. 성벽은 중심 토루와 내외피 토루가 있는 토성임이 확인되었는데, 9세기를 전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충주 견학리 토성은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일대에 위치한다. 가섭산 자락이 동쪽에서 평지를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구릉(해발 110~114m) 말단부에 토성이 만들어졌는데, 동쪽으로 요도천과 평지가 보인다.
충주 견학리 토성과 관련된 문헌 자료는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견학리라는 지명도 전근대 지리지에서 확인되지 않으며, 일제강점기에 불견리와 학성리를 합치면서 만들어진 지명으로 알려져 있다.
기록으로 전하지 않던 충주 견학리 토성은 1980년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 처음으로 존재가 확인되었다. 최초 지표 조사에서 충주 견학리 토성은 일종의 선사시대 취락과 관련된 시설일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후 인근에 벽돌 공장이 건립되면서 서벽이 훼손되었다. 1991년과 2000년에 두 차례 발굴 조사가 진행되어 기본적인 성격을 규명할 수 있었다.
견학리 토성은 성 하단부를 기준으로 북벽 44m, 동벽 58m, 남벽 32m가 남아 있었다. 남북 축으로 약 58m, 동서 축으로 49m의 방형으로 추정 둘레는 약 214m이다. 성벽의 높이는 북벽의 폭이 56m이고 남벽의 폭은 2.53m이다. 잔존한 성벽의 높이는 2~3m 정도이지만 원래 성벽의 높이는 약 5m 내외일 것으로 추정된다.
1991년에 이루어진 조사에서 토성 내에 청동기 시대 무문 토기와 석검이 수습되었고 내부에서 초기 철기시대~삼국시대의 토기편도 일부 수습되었지만, 관련 유구는 조사되지 않았다.
성 내부에서는 고려시대 토기편이 수습되었고, 더불어 성격 미상의 적석(積石) 유구와 수혈, 배수로 유구 등이 조사되었다. 그렇지만 건물지로 볼 수 있는 명확한 주거 흔적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성 내부에서는 기와도 전혀 수습되지 않았다. 다만 성 내부에서 편병이나 고배, 대옹편과 같은 9세기 대로 편년되는 유물이 주로 수습되었다.
토성벽 외곽에서 해자의 흔적도 확인되었다. 자연적인 경사면을 이용하여 토성을 축조한 지점도 있지만, 남벽에 해당하는 평지 지역은 생토면을 정지하여 해자에서 파낸 점질토와 사질토를 이용하여 최고 2m 높이로 판축하였다.
토성의 중심 토루 하단부 내외 측으로는 토성의 기초를 이룬 석렬이 확인되며, 중심 토루 내외 측에 내외피 토루를 조성하였다. 외피 토루 하단에는 330cm 간격의 주혈이 확인된다. 한 차례 이상 수축한 흔적도 확인되지만, 충주 견학리 토성은 석축 기단을 갖추고 3.8m 간격의 주혈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9세기 대에 축조된 신라의 토성과 유사한 성격을 가진다. 토성의 절개 조사 구간에서 고려시대 토기임이 확인되는 문화층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충주 견학리 토성은 9세기를 전후하여 지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조사 결과를 통하여 충주 견학리 토성은 신라 말기의 혼란 속에서 호족이 등장하고, 호족들이 치소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지어지고 운영된 평지 토성으로 볼 수 있다. 성 내부에서는 주거 흔적이 확인되지 않아서 성의 성격을 규명하기가 쉽지 않지만, 곡식 등을 저장하기 위한 창고성 또는 특수한 용도의 어떠한 시설로 운영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조선시대에는 충주 견학리 토성 주변에 숭선창과 미륵원이 위치한 것이 확인된다. 주변의 유적과 연계하여 생각해 본다면 충주 견학리 토성은 남한강 수계를 통하여 계립령 일대로 연결되는 교통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견학리 토성은 충주 일대에서 교통로를 통제하는 역할도 수행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평지에 축조된 소규모 토성이란 점에서 평택과 용인 지역에서 확인된 평지 토성과 유사한 규모와 입지가 주목된다. 주변 지역 토성은 창고성의 역할을 하면서 고려시대에도 지속적으로 활용되었다. 그렇지만 견학리 토성에서 수습된 고려시대 유물의 수량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충주 견학리 토성은 9세기 대에 축조되어 운영되었으나, 고려 전기에는 성의 기능을 이미 상실하고 폐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충주 견학리 토성은 기록에 전하지 않다가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평지성이다. 인근 탄금대 토성과 다르게 건축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나말여초인 9세기 대에 호족 세력에 의해 건립되어 고려시대까지 운영되었다. 대체로 주거의 목적보다 창고 등의 특수한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어, 인근 지역의 평지 토성과의 비교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