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하천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충청북도 충주시에 있는 여(呂) · 철(凸) 자 모양 집터, 중도식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기 등이 출토된 원삼국시대 마을유적.
이칭
이칭
중원하천리유적
약칭
하천리유적
유적
건립 시기
원삼국시대
소재지
충청북도 충주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충주하천리유적(忠州荷川里遺蹟)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있는 여 · 철자 모양 집터, 중도식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기 등이 출토된 원삼국시대 마을유적이다. 충주하천리유적은 충주호 담수에 따른 수몰 지구에 대한 발굴 조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발굴 조사는 한양대학교박물관(D지구)과 경북대학교박물관(F지구)이 실시하였으며, 총 5동의 원삼국시대(3세기 대) 여 · 철자 모양 집터를 확인하였다.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에 있는 여(呂) · 철(凸) 자 모양 집터, 중도식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기 등이 출토된 원삼국시대 마을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충주하천리유적은 1983~1984년까지 충주댐의 건설 계획에 따라 실시된 구제 발굴 조사 과정에서 발견된 원삼국시대 마을유적이다. 현재는 충주댐 담수화로 인해 수몰되었다. 충주하천리유적은 총 6개 지구 가운데 한양대학교박물관의 D지구(1984년)와 경북대학교박물관의 F지구에서 원삼국시대 집터가 발견되었다.

형태와 특징

발굴 조사에서 확인된 원삼국시대 집터는 D지구에서 3동, F지구에서 2동 등 총 5동으로, 철자형(凸字形) 3동, 여자형(呂字形) 1동, 원형 1동이다. 집터의 화덕자리는 중도식(中島式)으로 북한강 유역뿐만 아니라 영동 지역의 여 · 철자 모양 집터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집터 내부에서 출토된 중도식민무늬토기는 아가리가 길게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평평한 바닥의 긴몸통독, 바리, 둥근바닥항아리, 세발토기 등이 있다. 타날문토기(打捺文土器)는 소형의 짧은목항아리와 큰독이 출토되었는데, 모두 격자무늬를 타날하였다. 철기류는 삽날, 도끼, 낫, 손칼 등의 경작 도구가 주를 이룬다.

의의 및 평가

충주하천리유적은 남한강 상류역에서 여 · 철자 모양 집터가 처음 보고된 유적이다. 남한강의 동쪽 기슭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여 · 철자 모양 집터 분포권의 서쪽과 남쪽 경계지를 보여 주는 사례로서 중요하다.

조사 당시에는 가평마장리유적, 가평이곡리집터들과 비교하여 초기 철기시대 혹은 원삼국시대 초기 유적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조사된 집터의 구조와 화덕자리, 출토 유물 등을 종합해 볼 때 3세기 대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성백제 고고자료집』 상(기전문화재연구원, 2005)
『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논문

신수현, 「남한강유역 원삼국시대∼한성백제기 주거지 변화 양상」(한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9)
이준민, 「남한강 유역 원삼국시대 취락의 편년과 변화」(숭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박경신, 「전환기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취락의 편년과 전개 양상」(『국가형성기 한성백제의 고고학적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2011)
심재연, 「남한강 중상류지역의 철기시대 문화의 특징 –최근 발굴자료를 중심으로-」(『고고학』 6-2, 서울경기고고학회, 2007)

기타 자료

김병모, 최호림, 「중원 하천리D지구 유적발굴조사 보고 -1984년도-」(『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종합보고서』, 충북대학교박물관, 1984)
윤용진, 「중원 하천리 F지구 유적발굴조사 보고」(『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종합보고서』, 충북대학교박물관, 198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경신(한국기독교박물관 학예과장)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