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성화전리유적은 강원도특별자치도 횡성군 갑천면 화전리 웃말 일대에 해당하며, 1994년 지표 조사와 1996년 시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997년 강원대학교박물관(강원고고학연구소)이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개의 지구로 나누어 실시되었으며,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원삼국시대, 조선시대 등 총 3개의 문화층을 확인하였다. 이곳에서 발견된 유구는 청동기시대 집터 9동, 구덩이 4기, 도랑 1기, 원삼국시대 집터 10동, 구덩이 5기, 조선시대 구덩이 11기, 시기를 알 수 없는 화덕자리 4기 등 총 44기이다.
청동기시대 집터는 방형, 장방형, 원형으로 하천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거나 평행하다. 구덩이는 원형과 방형이 혼재해 있다. 청동기시대 유구 내부에서는 구멍무늬토기, 붉은간토기, 민무늬토기 등의 토기류와 반달모양돌칼, 간돌화살촉, 간돌도끼, 간돌칼, 돌끌 등과 함께 많은 수의 석기 조각들이 발견되었다.
원삼국시대 집터는 대다수가 철(凸)자형으로 남북 방향 및 약간 서쪽으로 치우친 편서향을 하고 있어 청동기시대 집터들과 대비된다.
내부에서 별다른 시설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원삼국시대 집터 안에서는 중도식 민무늬토기 긴몸통독, 바리, 시루, 뚜껑, 미니어처, 타날문토기(打捺文土器), 짧은목항아리의 토기류와 손칼, 화살촉, 낫 등의 철기류 및 송풍관과 많은 수의 슬래그(slag)가 발견되었다.
조선시대 유구는 부정형(不定形)이 많으며 분청사기(粉靑沙器), 백자, 질그릇 등이 출토되었다.
횡성화전리유적은 청동기시대, 원삼국시대, 조선시대 유구가 층위를 달리하여 분포하는 중층의 마을 유적이다. 청동기시대 유구 안에서는 많은 분량의 석편들이 발견되어 석기 제작 행위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집터에서 발견된 유물의 양상을 고려할 때 청동기시대 중기 마을에 해당한다.
원삼국시대 집터 안에서는 송풍관과 슬래그 등 철기 생산의 흔적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3세기 대에 해당한다. 조선시대 유구와 출토 유물은 화성현의 현청(縣廳)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