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덕>은 1447년(세종 29) 이전에 회례에 사용하기 위해 창제된 ⟪정대업지무악(定大業之舞樂)⟫ 아홉 개 변(變) 가운데 제4변의 3편 중 제1편의 정재와 음으로서, 태조악이다. 1493년(세조 9) ⟪정대업지무악⟫이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됨으로 인해 <지덕>의 일부 선율이 <순응>으로 수용되어, 종묘제례악 ⟪정대업⟫ 11곡 중 여덟 번째 일무이자 음악으로 채택되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연례에 사용한 <순응>의 정재와 음악은 중종(재위: 1506-1544) 때까지 전승되었으나, 현재는 전승이 단절되었다.
<지덕>은 1447년(세종 29) 이전에 회례에 사용하기 위해 창제된 ⟪정대업지무악⟫ 제4변, 제1편의 정재이자 음악이다. 정재의 주1는 없고, 가사는 『세종실록』 116권에 수록되어 있으며, 악보는 『세종실록』 권138에 수록되어 있다. 정재 <지덕>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순응>으로 바뀐 뒤의 정재는 『악학궤범』에 기록되어 있고, 중종(재위: 1506-1544) 때까지 전승되었으나, 현재는 전승이 단절되었다. 1493년(세조 9) ⟪정대업지무악⟫이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었고, <지덕>의 제112행, 제25행28행, 제45행~48행의 선율을 발췌하고, 악곡명을 <순응>으로 바꾸어 종묘제례악 정대업 11 곡 중 여덟 번째 일무이자 음악으로 삼았고,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정대업지무악⟫은 인입장, 아홉 개의 변(變), 13개의 편(篇), 인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덕>은 <지덕>, <휴명>, <순응>의 세 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정대업지무악⟫의 제4변의 제1편이다. <지덕>은 32정간 1행, 24행 1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현음은 남(㑲:A3), 황(黃:C4), 태(太:D4), 고(E4), 임(林:G4), 남(南:A), 황(潢:C5)이며, 5음 음계이다. 박법은 네 글자마다 박을 한 번 치고[四字一拍], 12박이 한 곡을 이루고 있다[12拍一聲]. 장구는 고(鼓), 고(鼓), 고(鼓), 고(鼓)를 24회 반복한다.
신우(辛禑)가 태조에게 주2을 쳐서 명(明)나라를 침범하도록 지시했으나, 태조는 주3를 앞세워 군사를 돌렸다는 내용이다.
희피려계(噫彼麗季) 딱하도다, 고려의 말엽에
주혼정학(主昏政虐) 임금이 혼암하고 정치가 잔학하여,
대운장경(大運將頃) 국운이 장차 기울어지니
천탈지백(天奪之魄) 하늘이 혼을 앗았도다.
유월칭병(六月稱兵) 6월에 군사를 일으켜서
감간상국(敢干上國) 명나라치기를 감행하니,
기지극간(旣之極諫) 아무리 극진히 간하여도
청악막막(聽我藐藐) 끝끝내 듣지를 아니했네.
수즉계행((雖則啓行) 부득이 행군을 하면서도
중심시위(中心是違) 중심엔 틀리는 일인지라.
순아인정(徇我人情) 당시의 인심에 순종하여
회아의기(回我義旂) 정의의 깃발을 돌리셨네.
(출처: 조선왕조실록(https://sillok.history.go.kr)
『세종실록』 소재 회례용 주4였던 ≪정대업지무악≫의 <지덕>은 『세조실록』에 악곡명이 <순응>으로 바뀌고, 선율과 가사가 축소되었으며, 그 용도도 종묘제례악으로 바뀌었으나, 조선 초기 세종대의 악무 일부가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