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제향악 ()

목차
관련 정보
국악
작품
땅을 관장하는 신(神)인 사(社)와 오곡을 주관하는 신인 직(稷)을 모셔놓고 지내던 사직제향 때 행하여지던 음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땅을 관장하는 신(神)인 사(社)와 오곡을 주관하는 신인 직(稷)을 모셔놓고 지내던 사직제향 때 행하여지던 음악.
내용

육례(六禮)의 하나인 제사는 길례(吉禮)에 속하기 때문에 흉례(凶禮) 때와는 달리 반드시 가무음곡이 곁들여지기 마련이므로 사직제에도 음악이 필수적으로 편성되었다.

사직제례악으로 쓰이던 음악을 『국조오례의』에 의거, 정리해 보면 우선 영신(迎神)에는 헌가(軒架)에서 순안지악(順安之樂)이 연주되고 열문지무(烈文之舞)가 추어졌으며, 그 다음의 제례절차인 전폐(奠幣) 때는 등가(登歌)에서 숙안지악(肅安之樂)과 역시 열문지무가 추어졌다.

그리고 진찬(進饌)에는 헌가의 옹안지악(雍安之樂), 초헌(初獻)에는 등가의 수안지악(壽安之樂)과 열문지무에 이어 문무(文舞)가 무무(武舞)로 바뀌면서 서안지악(舒安之樂)이 연주되었고, 아헌과 종헌 때는 헌가에서 수안지악과 소무지무(昭武之舞)가 사용되었으며, 철변두(徹籩豆)에는 등가의 옹안지악, 송신(送神)에는 헌가의 순안지악이 각기 사용되었다. 한편, 등가의 음악에는 각기 악장(樂章)이 곁들여졌다.

참고문헌

『국조오례의』(경문사, 1979)
『서울육백년사』제1권(서울특별시, 197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