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언해≫ 1권 1책, ≪중용언해≫ 1권 1책, ≪논어언해≫ 4권 4책, ≪맹자언해≫ 14권 7책의 사서와 ≪주역언해≫ 9권 5책, ≪시경언해≫ 20권 10책, (판본에 따라 5·7책으로도 되었음.), ≪서전언해≫ 5권 5책의 삼경을 통칭 칠서언해라고 한다.
사서언해의 최고본은 1590년(선조 23)의 내사기(內賜記)가 있는 도산서원본이 있고, 다음 1611∼1612년(광해군 4)의 내사기가 있는 규장각본이 전하는데, 이들은 모두 활자본이다. 그리고 1631년(인조 9)의 내사기가 있는 판본이 전하는데 목판본이다. 이 사서언해는 각 지방에서 교재용으로 많이 간행되었다.
삼경의 현존본 중에는 1606년의 ≪주역언해≫, 1613년의 ≪시경언해≫ 등 내사기가 있는 활자본이 현재 최고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언해사업은 본래 세종 때부터 시작되었으나 완성을 보지 못하였고, 성종 때도 유숭조(柳崇祖)가 구결(口訣) 또는 토(吐)만을 달아놓았다고 한다.
언해사업이 본격화한 것은 선조 때부터라고 할 수 있다. 선조는 교정청(校正廳)을 설립하고 경서에 구결을 달고 언해를 하도록 명하였다. 이렇게 간행한 교정청본을 관본(官本)이라고 하여 개인본과 구별하였다. 1586년 ≪소학≫과 사서의 언해가 모두 끝났고, 1588년 사서삼경의 언해가 끝나 상을 내렸다고 한다.
그러나 삼경은 선조 때의 것이 전하지 않으며, 다만 광해군 때의 판본이 전하고 있다. 따라서, 이 삼경도 광해군 때의 사서와 더불어 선조조본의 재간본으로 간주된다.
사서의 경우 이들은 모두 16세기말로부터 17세기초의 국어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으나, 표기법상으로는 별 차이가 없고, 다만 선조조본에는 방점(傍點)이 표기되어 있으나 광해군본이나 기타본에는 방점표시가 없다.
광해군본을 중심으로 볼 때 표기법 중 특기할만한 것은 ㅿ자와 ᄠᅳᆷ자의 사용을 들 수 있다. ㅿ자는 ㅇ이나 ㅅ으로 나타나 상당히 혼란된 양상을 보이며 한자음의 표기에는 ㅿ자가 많이 쓰였다. 어두자음군은 ㅂ계와 ㅅ계가 두루 쓰였다.
‘되― (爲)’는 ‘도외―’, ‘도이―’, ‘되―’가 공존하고 있으며, ‘ᄒᆞ―’의 사동형은 ‘ᄒᆞ이―’, ‘ᄒᆡ이―’가 다 쓰였다.
그리고 ‘―도다’에 대한 ‘―두다’가 보이고, 비교를 나타내는 후치사(後置詞)에는 ‘―에셔’, ‘―도곤’, ‘―두곤’이 쓰이고 있어, 이 책은 16세기와 17세기를 잇는 과도적 교량의 특성을 보인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후대에 각 지방에서 간행한 ‘칠서언해’들은 그 보수적 표기와 복각(覆刻)의 단점 때문에 국어연구의 중요한 자료라고 단정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