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롱을참 ()

목차
관련 정보
표롱을참
표롱을참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홍길주의 시 · 기 · 서(序) · 제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홍길주의 시 · 기 · 서(序) · 제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16권 7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없어 편자와 필사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잡저 30편, 기(記) 19편, 전(傳) 2편, 권3·4에 행장 1편, 술(述) 2편, 묘지명 10편, 묘갈명 1편, 권5∼7에 서(序) 37편, 제발(題跋) 18편, 서(書) 9편, 진향문 6문, 제문 10편, 기우문 9편, 찬(贊) 4편, 명(銘) 4편, 송(頌) 4편, 변려문(騈儷文) 5편, 상량문 6편, 권8∼10에 시 406수, 권11∼15에 총비기(叢祕記) 5편, 권16에 잡저 10편, 설(說) 1편, 서(序) 1편, 부(賦)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는 주로 정치 문제를 다룬 것이다. 위정(爲政)·정본(正本)·도속(導俗)·종선(從善) 등 기본 문제와, 관형(寬刑)·제전(制田)·양병(養兵) 등 국가의 존립과 직결되는 사항들을 항목별로 열거하여 설명하였다. 이어 지인(知人)·사난(師難)·귀단(鬼斷)·지기(知幾) 등 현묘한 문제까지 간추려 시의에 맞게 적용시켜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김영전(金泳傳)」·「김운서전(金雲瑞傳)」은 나라가 어려울 때 나라를 위해 몸을 바쳐 충성한 인물의 전기를 정리하여 국가의 중요성과 충효가 인간 행위의 기본임을 인식시킨 글이다. 서(書)는 대개 친지와 친구 사이에 안부를 묻고 간단한 용무를 의론한 것이다.

시는 대체로 아름다우며 품격이 높다. 「한거우성(閒居偶成)」·「우후망월(雨後望月)」 등에 잘 나타나 있으며, 「야난(夜煖)」·「야음(夜吟)」·「추야(秋夜)」·「야좌(夜坐)」·「설야(雪夜)」 등 밤을 주제로 하여 지은 것이 많다.

「삼학조례(三學條例)」는 학문을 경학(經學)·정학(政學)·사학(詞學)으로 구분하여 3학의 한계와 요점을 조례로 정하고 그 목록과 규식(規式), 입사(入仕)하는 방법을 밝힌 글이다. 「기하잡쇄보(幾何雜碎補)」는 당시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기하학의 미진한 점을 보충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