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소년병학교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단체
1909년 6월 독립군 양성을 목적으로 박용만의 주도하에 미국 네브래스카주 커니시에 세워진 학교.
단체/학교
개교 시기
1909년 6월
폐교 시기
1914년
설립자
박용만
설립지
미국 네브래스카주 커니시
소재지
미국 네브래스카주 헤이스팅스시
내용 요약

한인소년병학교는 1909년 6월 독립군 양성을 목적으로 박용만(朴容萬)의 주도하에 미국 네브래스카(Nebraska)주 커니(Kearney)시에 세워진 학교이다. 다음 해 헤이스팅스(Hastings)시로 이주하여 1914년까지 6년에 걸쳐 존속하며 90여 명의 학생을 배출하였다. 최신 군사 훈련을 받은 독립군 장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목차
정의
1909년 6월 독립군 양성을 목적으로 박용만의 주도하에 미국 네브래스카주 커니시에 세워진 학교.
변천 및 현황

1908년 박용만의 주도하에 미국 콜로라도(Colorado)주 덴버(Denver)시에서 열린 애국동지대표회의(愛國同志代表大會)에서 한인군사훈련양성소를 설립키로 한 안을 실행에 옮기기 위해 1909년 6월 미국 네브래스카주 커니시에 임대농장을 마련하여 설립되었다.

최신 군사 훈련을 받은 독립군 장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네브래스카에 거주하는 모든 한인이 소속되어 의무금을 내는 네브래스카 한인공회(韓人公會)를 만들어 학교 운영을 하기로 하였다.

처음에는 하와이 노동이민자 조진찬(曺鎭贊)의 농장 집에 학교를 설립하여 군사 교육을 실시하였다가 헤이스팅스대학 재무이사 존슨(P. L. Johnson)의 주선으로 대학의 기숙사와 학교 시설 일부를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1910년 6월부터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고 운영되었다.

소년병들은 오전에는 농장에서 일하고, 오후에 학과 수업을 시작하였다. 이들이 배우는 학과목은 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수학, 역사[미국과 조선], 지리, 과학, 성서 등 다양하였다. 병학으로는 보병조련, 군대내무서, 육군예식, 군인위생, 군법통용, 명장전법 등을 배웠다. 정신교육은 독립군 장교로서 지도자의 자질을 갖추기 위한 과정으로 박용만은 인내심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1863년 스프링필드 주1(The Springfield Armory)에서 제조한 구형 주2으로 훈련하였다. 실제 사격 연습도 하였다. 과외 활동으로는 육상반, 야구반, 연극반이 있으며 학생들이 직접 조직하여 운영하는 형태였다. 1910년에는 5~6명의 교사가 있었으나, 1914년에는 10명 이상의 교사가 다양한 과목을 지도하였다. 1911년 8월 첫 졸업식을 갖고 13명에게 졸업장을 수여하였다.

1911년까지 3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던 학생 수는 1913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했다. 이는 후원자들과 지도교사들의 이주, 장기적인 무장독립투쟁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지 않은 현실, 일본의 항의 등의 이유 때문이었다. 결국 1914년 8월 마지막 졸업식을 거행한 뒤 문을 닫게 되었다. 6년 동안 배출한 학생 수는 90여 명이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안형주, 『박용만과 한인소년병학교』 (지식산업사, 2007)
김원용, 『재미한인오십년사』(미국: California Reedley, 1959)

논문

한애라, 「1910년대 박용만의 국제인식」(『한국민족운동사연구』 95,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신문 · 잡지 기사

『신한민보』(1914. 4. 16)
주석
주1

병기를 만드는 공장    우리말샘

주2

개인 휴대용 전투 화기의 하나. 보병의 기본 무기로, 단발과 연발, 자동과 수동의 여러 방식이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윤상원(전북대학교 역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