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왕탱화 ()

목차
관련 정보
양산 통도사 건륭40년 현왕탱
양산 통도사 건륭40년 현왕탱
회화
개념
사람이 죽어서 3일 후에 받는 심판을 주재하는 현왕여래를 중심으로 묘사한 불화.
목차
정의
사람이 죽어서 3일 후에 받는 심판을 주재하는 현왕여래를 중심으로 묘사한 불화.
내용

보통 사찰 법당 안의 현왕단(現王壇)에 봉안되는데, 현왕단은 일반적으로 약사전(藥師殿)에 두는 경우가 많다.

중단탱화(中壇幀畫)에 속하는 이 불화에는 상단에 앉아 있는 현왕여래를 중심으로 주위에 명계중(冥界衆)의 여러 존상을 그리게 된다. 이는 명간교주(冥間敎主)인 현왕여래가 명계중과 더불어 인간 사후의 심판을 하는 광경을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현왕은 사람이 죽어서 3일 만에 심판을 받는 명간교주로 신앙되고 있는데, 보통 중앙에 현왕여래와 그 두광(頭光)의 좌우에 동자상(童子像), 바로 아래쪽 좌우로 좌우보처인 대륜성왕(大輪聖王)과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묘사되고, 그 아래에 판관(判官)과 녹사(錄事)가 시립하는 구도를 보인다.

현존하는 현왕탱화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1864년(고종 1)에 제작된 양산 통도사(通度寺) 현왕탱화와 1884년(고종 21)에 제작된 전등사(傳燈寺) 현왕탱화, 연대 미상의 하동 쌍계사(雙磎寺) 현왕탱화 등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불화의 연구』(홍윤식,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홍윤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